올 한 해 주택 인허가 실적이 70만가구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되면서 주택시장이 '소화불량'에 빠질 것이라는 우려도 함께 커지고 있다. 지난 2013년 정부가 '제2차 장기주택계획(2013~2022년)에서 밝힌 연공급 39만가구의 두 배 가까운 물량이 쏟아지는 셈이다.
이 같은 대규모 물량에 대해 전문가들은 공급과잉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하지만 서울 등 수요가 뒷받침되는 지역은 충분히 물량을 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반면 지방은 2~3년 뒤 입주 폭탄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1~9월 인허가 이미 2014년 물량 육박=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1~8월 주택 인허가 실적은 총 45만2,185가구다. 9월 물량이 아직 집계되지 않았지만 전달과 비슷한 6만가구가량으로 예측했을 때 1~9월 인허가 물량이 이미 지난해(51만5,251가구) 실적과 비슷해지는 셈이다. 이에 따라 올 한 해 주택 인허가 물량이 70만가구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이는 건설사들이 분양시장 호황에 따라 올해 경쟁적으로 '밀어내기 공급'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1~8월 아파트 인허가 물량은 30만1,692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20만4,362가구)에 비해 47.6% 급증했다.
연립다세대 주택 등이 전세난으로 인기를 끌자 공급이 늘어난 것도 한몫했다. 1~8월 아파트 이외 주택의 인허가는 15만493가구로 10만9,240가구였던 전년 동기보다 37.8% 늘어났다.
◇지방 주택시장 시한폭탄 째깍째깍=문제는 대규모 인허가 실적을 뒷받침할 수 있는 수요가 형성돼 있느냐 여부다.
김재언 KDB대우증권 부동산 세무팀장은 "과잉공급이라고 볼 수는 있지만 시장에서 충분히 소화할 수 있는 물량이라 지나친 수준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다만 "오는 2017년 이후부터 현재 쏟아지는 물량의 입주가 한 번에 진행되면서 단기적으로 입주 충격이 올 수는 있다"고 밝혔다.
특히 지역별로 70만가구 공급 여파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이남수 신한금융투자 부동산팀장은 "서울의 경우 주택 공급이 늘어나면 서울을 빠져나갔던 인구가 다시 돌아올 수 있지만 지방은 실수요보다 투자수요가 많아 미분양 악몽이 시작될 수 있다"고 말했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리서치실장도 "대기 수요가 풍부한 서울 강남권과 서울 접경지역은 공급 과잉 타격을 받지 않을 가능성이 높지만 외곽지역으로 갈수록 밀어내기 분양의 부작용이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인허가 실적의 70% 가까이를 차지하는 아파트 물량은 내년 주택시장이 악화될 경우 미착공 물량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이창무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이미 미착공 물량은 2013년(44만116가구)에서 지난해(51만5,251가구) 사이 인허가가 증가하면서 함께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재용·조권형·정순구기자 jylee@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