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교육부가 발표한 '초·중·고등학생 학업중단 현황조사' 결과에 따르면 4월1일 현재 학업중단학생은 모두 6만568명으로 지난해보다 11.2%(7,620명) 감소했다.
재적학생 수 대비 학업중단학생 수의 비율인 학업중단율은 0.93%로 지난해(1.01%)보다 0.08%포인트 떨어졌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의 학업중단율이 0.57%로 지난해와 같았고 중학교는 0.79%, 고등학교는 1.60%로 1년 전보다 각각 0.10%포인트, 0.22%포인트 하락했다.
초중교에서 해외유학·이민·질병 등의 사유를 제외하고 의무교육에서 이탈한 학생 수는 모두 1만8,738명으로 지난해보다 15.1%(3,338명) 감소했다. 학업중단 고등학생 중 질병과 해외 출국을 제외한 부적응 사례는 2만5,016명으로 1년 전보다 13.1%(3,777명) 줄었다. 부적응을 사유로 20명 이상 학업을 중단한 고등학교는 332개교였고 해당 학생 수는 1만1,155명(44.6%)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학교 수는 65개, 학생 수는 3,586명 감소했다.
교육부는 진로교육 강화, 자유학기제, 학업중단숙려제 의무화 등의 정책과 현장의 노력으로 학업중단학생 숫자가 줄었다고 풀이했다.
한편 교육부는 초중교 의무교육에서 이탈하는 학생을 줄이기 위해 학교 수업시간과 심야시간에 해당 학생이 배회할 경우 경찰이 무단결석자인지를 검문하는 제도의 도입을 검토하기로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