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다면 정부가 그동안 쏟아냈던 강경 대응책은 뭐란 말인가. 6ㆍ4지방선거를 앞둔 정부여당 입장에서 집단휴진 사태는 매우 부담스러울 것이다. 이런 상황은 1차 집단휴진 전이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다. 달라진 게 있다면 당초 1차 집단휴진 참여계획이 없었던 전공의들이 정부의 강경책에 반발해 동참으로 돌아섰고 2차 집단휴진에도 대거 참여하기로 했다는 점이다. 결국 2차 집단휴진이 자칫 의료대란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정부의 입장변화를 불러온 셈이다.
국민의 생명을 담보로 한 의사들의 집단휴진은 안 될 일이다. 하지만 상황판단을 잘못해 오락가락하는 정부도 큰 문제다. 이러니 정책에 대한 신뢰를 못 주는 것 아닌가. 다시 대화를 시작하기로 한 만큼 정부와 의협 모두 진정성을 갖고 임해야 한다. 앞서 의협은 보건복지부와 의료발전협의회를 구성해 협의한 사항을 공동발표까지 해놓고도 번복, 회원 투표로 집단휴진에 들어가 신뢰를 저버린 바 있다. 원격진료 허용범위 확대와 의료법인 영리자회사 허용에 반대하고 건강보험 의료수가 인상 등을 요구하는 의협의 입장은 변한 게 없다. 정부와 의협 모두 대화를 2차 집단휴진에 대비한 명분쌓기용으로 삼아선 곤란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