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주택거래시장이 거래중단 쇼크에 빠졌다. 아파트 거래량이 4분의1 수준으로 급감하면서 사실상 시장이 사라졌다. 경기침체에 취득세 감면혜택, 박원순 서울시장의 주택정책 등 악재가 맞물리면서 매수심리가 꽁꽁 얼어붙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9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 들어 신고된 서울시내 아파트 거래건수는 2,206건이었다. 지난 1월의 경우 1,552건에 그쳤으며 2월에도 8일까지 신고된 물량은 겨우 654건이었다.
1월 거래량은 지난해 12월 기록한 5,761건의 26%에 불과하다.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도 28% 수준에 불과하며 지난해 월평균 거래량 4,911건에도 턱없이 못 미친다.
특히 12ㆍ7부동산대책의 최대 수혜지역으로 꼽히는 강남3구도 아파트 거래량이 뚝 떨어졌다. 강남ㆍ서초ㆍ송파구의 아파트 거래량은 2월 신고분까지 합쳐도 528건으로 지난해 12월의 981건에 비해 46%, 지난해 1월 1,317건과 비교하면 70% 이상 줄었다.
아직 공식 집계가 이뤄지지 않았지만 지방 역시 거래가 위축되는 분위기다.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최종 집계를 해봐야 알겠지만 1월 아파트 거래량은 전국적으로 전년동기 대비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며 "수도권은 감소폭이 더 크다"고 말했다.
아파트 거래량이 급감한 데는 지난해 말 취득세 감면혜택 종료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국토부는 분석했다. 백화점 세일 기간 직후 손님이 뚝 끊기는 것과 비슷한 현상이다.
하지만 단순한 제도시행 종료 탓으로 보기에는 거래량 감소폭이 너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팀장은 "주택구매는 소득ㆍ일자리 등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는데 실물경기 침체우려 때문에 거래부진이 예상보다 심각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서울지역은 박 시장의 뉴타운ㆍ재건축정책이 주택매매 심리를 더 악화시킨 것으로 시장에서는 분석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