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은 지난 4월부터 서해연안의 해수, 갯벌, 어패류를 대상으로 매주 비브리오패혈증균의 오염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지난 6월 11일 김포 대명항에서 채취한 해수에서 균을 분리했다고 덧붙였다.
연구원은 올해는 해수온도가 일찍 상승, 지난해보다 15일정도 일찍 균이 분리됨에 따라 주의가 요구된다고 당부했다.
비브리오패혈증균은 해수온도가 18℃ 이상 상승하는 6~9월에 주로 증식하는데 건강한 사람은 이 균에 감염되어도 발병하지 않으나 만성간질환, 알콜 중독자, 만성 질환환자 등 면역 저하자에게 발병한다. 감염경로는 이 균에 오염된 어패류를 생식하거나, 상처 난 피부가 오염된 바닷물에 접촉할 때 감염되며 사망률이 50%에 이른다.
비브리오패혈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패류를 충분히 익혀서 섭취하고, 어패류를 손질한 칼, 도마 등은 수돗물에 깨끗이 씻은 후 사용해야 한다.
또 상처 난 피부가 오염된 바닷물에 접촉하지 않도록 해야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