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상당수 지역에서 아이비·스마트·엘리트·스쿨룩스 등 4대 교복 브랜드 업체의 교복 가격이 똑같아 담합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20일 교육부가 세종시를 제외한 16개 시도의 4대 브랜드 업체 교복 가격을 긴급 조사한 결과 동복 기준 개별구매의 평균가격은 25만6,925원이었다. 교육부가 지난해 7월 제시한 겨울철 교복 공동구매 상한기준인 20만3,084원보다 5만원 이상 높은 셈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4대 업체가 일선 학교의 공동구매에 참여하지 않고 학부모들의 개별구매를 유도해 가격이 높게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시도 교육청이 관할지역 내 3개 시·군·구를 골라 4대 브랜드 대리점에 직접 가격을 문의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부산과 제주는 2개 지역만 조사됐다.
교육부의 정책목표와 달리 교복 가격이 높게 형성된 것도 문제지만 이번 조사에서 특히 눈길을 끄는 점은 서울 송파구, 대구 북구, 대전 중구, 충남 천안·아산·당진시, 전남 순천·여수시 등 8개 지역의 4대 업체 교복 가격이 똑같다는 점이다. 또 대구 수성구, 광주 서구, 대전 서·동구, 전남 목포시, 경남 창원시 등 6개 지역은 4개 업체 가운데 3개 업체의 가격이 동일했다.
충북 진천·옥천군, 전북 부안군, 경남 거창군 등 4곳은 지역 내에서 영업 중인 2개 업체 대리점의 가격이 서로 같았다. 대전은 서구의 한 업체만 가격이 23만8,000원인 것을 빼고는 중·서·동구의 4대 업체 가격이 일제히 24만8,000원이었다. 조사 대상 46개 지역 중 이들 18개 지역의 업체 대리점 간 가격 담합이 의심되는 대목이다.
뿐만 아니라 같은 브랜드 업체의 교복 가격이 지역에 따라 최대 10만원가량 차이가 날 정도로 지역별 편차가 커 교복 가격의 적정 수준에 대한 의구심도 일고 있다. A업체 교복은 충남에서 평균 22만8,000원에 팔렸지만 전남에서는 평균 27만9,333원에 판매돼 가격 차가 5만원에 달했다. B업체 교복은 서울 금천구에서 19만3,000원이었지만 강동구에서는 29만9,000원에 판매됐다.
학교마다 교복 디자인이나 사용된 원단이 달라 같은 업체 제품이라도 가격이 다양할 수 있지만 지역별로 가격 차가 최대 10만원 이상 나는 것은 제조원가 차이로만 설명이 안 된다는 게 대부분 학부모단체들의 주장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공정거래위원회와 협의해 주요 브랜드 업체가 가격을 담합할 소지를 줄일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