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3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거부하는 건 지역주의 기득권을 누리려는 기득권 지키기"라며 "새누리당은 즉시 논의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문 대표는 권역별 비례대표제에 대해 "우리 정치의 망국병을 치유하기 위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제안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 정치에서 무엇보다 절실한 개혁과제가 망국적 지역주의 정치구도 타파이며 그 방안이 권역별 비례대표제로 한 정당이 특정 지역의 정치를 독점하는 폐단을 막을 수 있다"면서 "권역별로 다양한 지역 인재를 뽑아 지역분권도 강화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비례대표 후보를 선정함에 있어서는 "해당 권역 주민들이 상향식으로 선출하도록 해 공천권을 시민에게 돌려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새누리당은 야당의 요구를 일축했다. 원유철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표단·정책위원회 연석회의에서 "지금은 의원 정수를 늘리는 게 중요하지 않으며 국회의 고효율 저비용 구조를 어떻게 바꾸느냐가 정치개혁의 핵심 과제"라며 "양보다 질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새누리당은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드린다는 공천개혁부터 국회가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어떻게 만들어갈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국회 정치개혁특위에서 논의된 안을 기초로 8월 중 오픈프라이머리를 당론으로 선택할 방침이다.
원 원내대표는 회의 직후에도 "권역별 비례대표제가 또 다른 지역구(도)를 몰고 가는 측면이 강하다. 또 (새누리당은) 300인 (의원) 정수 범위 내에서 추진해야 하는데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의원 정수를 늘릴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보고 있다"고 거듭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