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의대 해부학교실 황영일ㆍ신동훈 교수팀은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조선시대 116명(남 67명, 여 49명)의 유골에서 채취한 넙다리뼈(대퇴골)를 이용해 평균키를 분석한 결과 남성은 161.1(±5.6)㎝, 여성 148.9(±4.6)㎝로 분석됐다고 31일 밝혔다.
연구팀이 제시한 일본측 분석자료에 따르면 에도시대부터 명치시대까지 일본 남성의 평균키는 154.7~155.1㎝로 조선 삼성보다 약 6㎝이상 작았다.
비슷한 시기의 서구국가들의 평균키는 스웨덴 169.6㎝(17세기), 영국 168.1㎝(12~18세기), 네덜란드 166.7㎝(17~19세기), 독일 169.5㎝(16~18세기), 포르투갈 165.7㎝(15~19세기), 미국 173.4㎝(17세기 후반~19세기 후반) 등으로 한국보다 훨씬 컸다.
조선시대 한국인의 평균키는 조선 초기인 15세기 초부터 구한말인 19세기말까지 큰 변화가 없었다. 중세시대에는 신장에 별다른 차이가 없다가 19세기 초 산업화와 함께 일시적으로 평균키가 급신장한 영국과 미국, 스웨덴, 프랑스 등의 서구 국가와 대비된다. 대신 한국에서는 20세기 초부터 급성장하는 특징을 보였다.
황영일 교수는 “조선왕조의 개화기가 다른 나라에 비해 늦어진 데다 19세기말에서야 비로소 근대화가 이뤄지기 시작했고, 1960년대 들어 산업화가 본격화됐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조선시대 평균키는 현재와 비교해서 각각 12.9㎝, 11.6㎝ 가량 작았다. 지난 2010년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이 조사한 한국인 평균키는 남 174㎝, 여 160.5㎝다.
황 교수는 “조선시대에 평균키가 작았던 것은 영양 상태와 함께 질병 등의 보건 위생적 요인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며“성장기에 영양성분의 섭취가 부족하고 질병 등을 겪으면 키가 작아진다는 사실은 보건학에서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논리”라고 말했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미국 자연인류학저널(Americ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