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사태는 공공의료기관의 열악한 현실, 자구노력을 거부하며 도덕적 해이에 빠진 강성 의료원 노조가 맞물려 일어났다. 진주의료원은 보건복지부의 운영평가ㆍ진단에서 최하위 등급을 받았다. 매년 수십억원의 적자를 내 누적부채가 지난해 말 279억원에 이르고 의료수익 대부분이 인건비 지출에 쓰인다. 진주시 전체 의료급여 환자 진료건수의 2.9%만 담당할 정도로 공공의료기관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 홍 지사가 '귀족 강성노조의 해방구'라고 할 정도로 노조가 인사ㆍ경영에 광범위하게 개입하고 경영개선을 위한 외부 경영진단을 거부하는 등 입김도 셌다. 2월26일 발령이 난 의료원장 직무대리가 노조의 반대로 출근을 못하다 11일 첫 대화를 했을 정도다.
하지만 폐업 방침을 결정한 경남도도 성급했다. 홍 지사도 임기가 1년6개월밖에 안 돼 서두르다 보니 폐업 결정이 일방적이라는 평가가 있다는 점을 인정했다. 따라서 의료원 노사가 대화를 통해 정상화 방안을 모색할 기회를 줄 필요가 있다. 폐업은 뼈를 깎는 자구노력과 경남도 차원의 경영개선 노력을 추진한 뒤 취할 마지막 처방이어야 한다.
의료원은 수익성이 없더라도 필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고 진료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해 적자가 나기 쉽다. 전국 34개 지방의료원 가운데 장례식장 운영수익 등을 뺀 의료수익이 흑자를 낸 곳이 김천의료원 한 곳뿐인 이유다. 폐업이 불가피하다면 서민층 의료에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정치권과 정부도 의료원을 폐쇄하지 말라고 압박만 할 게 아니라 공공의료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합당한 지원과 경영ㆍ서비스 혁신을 유도해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