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용인동부경찰서는 19일 오전 11시 30분께 '국정원 직원 변사사건'에 대한 언론 브리핑을 갖고 임씨의 유서를 공개했다. 당초 경찰은 유가족이 임씨의 유서가 공개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며 비공개 방침을 밝혔지만 불필요한 억측이 제기되자 공개로 방침으로 바꿨다.
경찰에 따르면 임씨는 노란색 바탕에 가로 줄이 그어진 기록용지에 총 3장의 유서를 남겼다. 경찰은 이 중 2장을 임씨의 가족에 대한 내용이 적혀있어 비공개 방침을 유지했다고 설명하는 한편 나머지 1장에 대해서는 언론에 공개했다.
임씨는 유서 마지막 장에서 국정원장, 차장, 국장에게 "지나친 업무에 대한 욕심이 오늘의 사태를 일으킨 듯하다"며 "정말 내국인에 대한, 선거에 대한 사찰은 전혀 없었다"고 적었다. 그리고 "외부에 대한 파장보다 국정원의 위상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혹시나 대테러, 대북 공작활동에 지원했던 자료를 삭제했다"고 설명했다. 이 부분에서 "대테러, 공작활동에 지원했던 자료를 삭제하였습니다"라고 적혀 있었으나 '대테러'와 '공작' 사이에 '대북'을, '공작활동에'와 '지원했던' 사이에 '오해를 일으킨'이라는 문구를 삽입했다. 즉, 논란이 벌어지는 국정원의 해킹 프로그램이 '공작활동'과 관련된 것이었는데, 민간인을 상대로 해킹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자 '오해'라고 반박한 것으로 보인다.
임씨가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된 것은 국정원이 개인용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그대로 드려다 볼 수 있는 해킹 프로그램인 원격조정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RCS)을 구입한 사실이 드러나고 이와 관련한 논란이 걷잡을 수 없이 증폭된데 따른 부담감 때문으로 분석된다. 경찰 관계자도 "업무적으로 힘들다는 말을 부인에게 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사건의 시작은 지난 7월 5일 RCS를 판매하는 이탈리아 해킹팀의 내부 문건이 유출되면서부터다. 이 문건에는 한국의 '육군 5163부대' 즉 국정원이 이 프로그램을 구입한 정황이 담겨있고 국정원이 국내 갤럭시 핸드폰의 신제품이 나올 때마다 해킹 프로그램을 요청했다는 의혹과 지난 대선 전에 해킹 프로그램을 추가로 주문했다는 주장 등이 잇따라 제기되면서 각종 의혹이 꼬리를 물고 커졌다. 더욱이 국정원이 RCS를 구입한 사실이 있지만 국민을 상대로 해킹을 시도한 적은 없다는 해명에도 불구하고 국정원이 이탈리아업체에 국내 포털사이트인 네이버 블로그 등을 링크로 거는 해킹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는지를 문의한 정황이 추가적으로 드러나면서 여론이 극도로 악화됐다.
임씨가 죽음으로 이런 의혹을 강하게 부정했지만 자살을 선택한 이유와 목숨을 끊기 전의 이동 경로 등은 여전히 풀리지 않은 의문점이다.
한편 임씨는 전북 소재 한 대학교 전산과를 졸업했으며 국정원에 입사한 20년 동안 사이버 안보분야에서만 일한 것으로 전해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