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의 유엔 연설은 대북 대응방식과 관련해 정치·군사와 인도적 조치를 분리하는 '투트랙 전략'을 천명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북한의 도발행위에는 엄중히 맞서되 이산가족 상봉이나 경제지원에는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원칙을 재확인한 셈이다. 앞서 열린 미중 정상회담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안을 무시한 북한의 행동에는 단호히 대처한다는 공통의 인식을 확인한 것도 우리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반가운 일이다.
국제사회의 분위기는 우호적이다. 이런 가운데 펼쳐진 박 대통령의 유엔 외교는 한반도 통일의 중요성을 각인시키고 우리 통일방안에 대한 지지를 확산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다만 각국 정상들 사이에 북한 문제가 제대로 언급되지 않은 것이나 뚜렷한 대북 해법이 마련되지 못한 점은 더욱 치밀한 외교적 노력이 필요함을 일깨워주는 대목이다.
내일이면 남북관계의 분수령으로 작용할 10월이다. 북한은 10일 노동당 창건 70주년을 맞아 장거리미사일 발사 및 제4차 핵실험 도발을 위협하면서 이산가족 상봉을 앞둔 우리의 걱정을 키우고 있다. 북한은 30일 뉴욕에서 만난 한미일 외교장관들이 섣부른 도발에 대가를 치를 것이라는 경고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박 대통령은 다음달 16일 한미 정상회담에 이어 월말께 한중일 정상회담을 갖는다. 정부는 유엔총회에서 쌓은 외교 성과를 기반으로 요동치는 한반도 정세에서 북의 도발을 억제하고 균형 잡힌 중재자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외교역량을 발휘해야 할 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