믹타는 지난 2013년 9월 멕시코, 인도네시아, 한국, 터키, 호주 등 5개국이 결성한 중견국가 협의체다.
이날 박 대통령의 국회의장단 접견에는 미겔 바르보사 멕시코 상원의장과 이르만 구스만 인도네시아 상원의장, 스티븐 패리 호주 상원의장 등만 참석했고 정 의장은 제외됐다. 당초 박 대통령은 정 의장을 포함해 믹타 국회의장단과 청와대에서 오찬을 함께 할 예정이었지만 형식이 접견으로 바뀌었고 정 의장도 참석자 명단에서 빠졌다.
정치권에서는 이를 두고 국회법 개정안 위헌 논란을 둘러싸고 청와대와 정 의장이 마찰을 빚었고 마땅한 해법도 찾지 못한 상황에서 정 의장이 접견에 참석하는 것은 청와대로서도 부담으로 작용했을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이날 오찬 일정은 확정된 것이 아니었고 다른 일정 때문에 박 대통령이 한 시간이 넘는 오찬을 소화할 수 없어서 형식이 바뀐 것”이라며 “협의 과정에서 접견으로 대체됐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최근 정 의장 초청으로 방한했던 장더장 중국 전국인민대표회의 상무위원장이 박 대통령을 예방했을 때에도 정 의장은 참석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국회의장실은 섭섭하다는 반응이다. 정 의장측 관계자는 “대통령 일정을 청와대에서 정하기 때문에 우리가 왈가왈부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라고 전제한 뒤 “할말은 많지만 우리가 뭐라 할 수 있겠는가. 우리측 분위기는 충분히 예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