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수단은 대주주 자기대출 80억원, 부실대출 357억원, 한도초과대출 1조593억원, 후순위채 부당 발행 48억원 등을 추가로 규명하고 대주주와 행장을 비롯한 경영진 15명 등 총 38명을 입건해 33명을 기소했다.
현재까지 합수단이 확인한 이들 7개 저축은행의 불법대출 규모는 3조2,758억원에 달한다. 2차 수사 과정 중 기소된 경영진은 고기연(54) 토마토저축은행장, 김선교(56) 프라임저축은행장 등이다.
금융감독원과 국세청 소속 공무원들이 저지른 '백화점식 뇌물수수'도 추가로 다수 적발됐다.
합수단은 저축은행 불법을 묵인하거나 비호해준 대가로 수억원을 수수한 금융감독원 연구위원(1급) 신모(52)씨를 비롯해 감독기관 공무원 12명을 적발하고 9명을 구속 기소했다. 신씨는 에이스저축은행으로부터 거액의 부실대출을 받은 차주 이황희(53)씨에게 불법을 눈감아주는 대신 아르마니 양복과 2,000만원 상당의 롤렉스 손목시계 등 총 1억3,500만원의 금품을 요구한 것으로 조사 결과 드러났다.
정ㆍ관계 로비 사실도 드러났다. 박배수(46) 이상득 의원실 보좌관과 김윤옥 여사의 사촌 오빠인 김재홍(72)씨는 제일저축은행 유동천(72ㆍ구속기소) 회장으로부터 청탁을 받고 금품을 수수한 혐의로 구속 기소됐다. 정윤재(48) 전 청와대 비서관은 '파랑새저축은행 측으로부터 공적자금 지원 결정을 받을 수 있도록 해달라'라는 부탁과 함께 1억원을 받은 혐의로 구속 기소됐다.
저축은행에 세무조사나 금감원 경영진단을 무마해주겠다고 약속하고 거액의 로비자금을 받은 브로커들도 합수단 수사망에 포착됐다. 토마토저축은행으로부터 검찰 수사 확대를 막아달라는 부탁과 5억3,000만원을 받은 법무사 고모(46)씨와 금감원 간부에 대한 로비청탁과 3억원을 수수한 A회계법인 박모(37) 부회장 등도 구속 기소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