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제16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 참석해 한 중소기업인의 애로사항 건의에 이 같이 답했다.
식물정보 업체인 엔씽의 김혜연 대표는 ”일본의 경우 20억원의 투자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단 몇 페이지의 제안서로 1개안에 결정된다“며 ”반면 우리의 경우 신청에 엄청난 서류작업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창업기업은 선행실적이 없어서 사실 투자를 받기가 어렵다“고 토로했다.
박 대통령은 농업 혁신에 대해 ”세계 식품시장은 전 세계 정보통신(IT)시장이나 자동차시장 보다 훨씬 크다“며 ”이제 우리 농업도 과학기술과 연구를 통해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또 ”우리 농업도 변화와 혁신을 서둘러야 한다“며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를 바탕으로 정체된 농가소득 증대의 돌파구를 마련하고 농업부문의 시장개방에도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를 포함해 올해에만 5개국과 FTA를 체결하면서 농업분야에 대한 시장개방 우려가 확산되고 있지만 농업기술 선진화를 통해 극복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은 미국과 네덜란드가 위치정보시스템(GPS), 인공위성, 스마트 농업 등 농업과 과학기술을 연계해 농산물 수확량을 늘리고 환경도 보호하는 사례를 소개했다.
박 대통령은 재난대응 및 안전에 대해 ”과학기술은 안전한 대한민국을 창조하는 첨병이 되어야 한다“며 ”앞으로 재난안전 분야의 연구개발을 확대하고 연구성과를 재난대응에 적극 활용하는 등 과학기술에 기반한 재난안전을 구체화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적으로 재난안전 관련 시장은 2013년 372조원, 2022년에는 612조원에 달할 정도로 크게 확대되고 있지만 국내 재난대응기술 기업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박 대통령은 ”재난안전 산업의 발전과 시장형성도 매우 중요하다“며 ”산학연이 함께 기술개발과 상용화를 추진하고 새로운 산업과 시장을 창출해 재난대응 역량도 강화하고 경제재도약에도 기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재난을 미연에 방지하는 감지와 예측, 현장의 골든타임 활용을 극대화하는 구난, 총체적이고 신속한 사후복구 등 재난대응의 모든 과정을 과학기술이 뒷받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