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당국이 크게 우려했던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망자와 3차 감염자 발생이 동시에 일어나는 등 메르스 사태가 악화일로다. 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을 수 없다던 3차 감염이 현실화하면서 격리대상자 수는 2일 기준 756명으로 불어났다. 격리대상자 수는 보건당국이 추적조사를 하면 할수록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권준욱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대책본부 기획총괄반장은 "격리대상자 수는 지금 이 시간에도 계속 늘어나고 있다"며 "현재 기준으로 총 789명에 격리 해제된 33명을 제외하면 모두 750여명인데 추적조사를 완료하면 '수배'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고 말했다. 바꿔 말하면 격리대상자 수만 수천명에 달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얘기다.
복지부가 모니터링해야 할 대상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이들의 동선을 파악하는 것이 어려워지게 된다. 첫 환자와 같은 병동에 머물렀던 환자들, 첫 감염자와 같은 병실을 썼던 환자의 가족조차 놓쳤던 보건당국이다. 이 때문에 통제불능 상태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 격리 대상자가 1,000명을 초과하면 보건당국이 이들을 일괄적으로 통제할 수 있을지 미지수라는 게 중론이다. 일부 격리대상자가 당국의 권고를 무시하고 이탈하면 혼란이 가중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실제 인터넷상에서는 아침·저녁으로 체온만 측정해서 보건당국에 알린 뒤 볼일을 보러 다니고 있다는 글들이 올라오고 있다.
시설 격리조치를 한다면 이 같은 가능성은 다소 줄겠지만 시설 자체가 부족한 것도 문제다. 보건당국은 총 격리대상자 가운데 고위험군에 속하는 사람들 35%를 시설에 격리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현재 국가가 확보하고 있는 격리시설은 150명 규모다. 전국 17개 국가지정병원의 음압병상을 이용한다 해도 부족할 가능성이 높다. 권 반장은 "국가 지정 병원의 일부 병동을 아예 메르스 격리 시설로 활용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보건당국은 현재까지 메르스 감염이 의료기관 내에서만 이뤄졌다는 점을 감안할 때 지역사회로 메르스가 전파될 가능성은 낮다고 강조하고 있지만 시민들의 우려는 갈수록 고조되고 있다. 우선 3차 감염 사례가 나타난 만큼 이들과 접촉한 사람이 더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이를 통해 재차 감염자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수도권 일대에 격리 병상이 부족해 환자 일부가 전국의 지정격리병상으로 옮겨지고 있는 점도 확산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바이러스가 체외로 나왔을 때 생존할 수 있는 기간을 48시간 정도로 보고 있다. 김우주 고려대 감염내과 교수는 "바이러스는 0~25도 환경에서 일반적으로 48시간 생존한다"고 설명했다. 쉽게 얘기하면 메르스 확진자에서 나온 바이러스가 사물에 묻어 있다 일정 시간 내에 다른 이에게 옮겨지면 감염이 될 가능성도 있다는 의미다.
메르스에 대한 국민적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복지부는 이날 메르스 확산방지를 위한 강화대책을 내놓았다.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본부장을 복지부 차관에서 복지부 장관으로 격상하고 50세 이상 만성질환자는 원칙적으로 시설격리를 유도할 방침이다. 또 항생제로 치료되지 않는 폐렴, 기저질환이 있는 폐렴환자 등 고위험 폐렴환자를 전수조사해 메르스 위험요소를 찾아낼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