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르한 하크 유엔 대변인은 26일(현지시간) 기자들에게 “유엔은 이번 보도내용을 인지하고 있으며 그 관련 당사자들, 즉 미국 행정부와 접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독일 시사주간지 슈피겔은 25일 에드워드 스노든으로부터 입수한 NSA 내부문건을 인용, NSA가 지난해 여름 뉴욕 유엔본부 화상회의 시스템의 암호코드를 풀어 그 내용을 감청했다고 보도했다.
하크 대변인은 “1961년 채택된 ‘외교관계에 대한 빈협약’(이하 빈협약)은 확고부동한 국제법으로 자리잡았다”고 강조하며 “모든 협약국은 유엔 등의 국제기구를 포함한 모든 외교공관에 대한 불가침권을 보호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빈협약에 다르면 모든 당사국 정부는 자국 주재 외교공관 또는 국제기구를 수색하거나 관련 문건 또는 자산 등을 압류할 수 없다. 또 이들 공관과 본국 간의 자유로운 소통을 허락하고 보호할 의무도 있다.
NSA의 불법 개인정보 수집활동을 폭로한 스노든 사건을 계기로 미국 정부는 민간인은 물론 외국 정부와 공관 등을 상대로 광범위한 스파이 활동을 벌여온 정황이 드러나 국제사회의 반발을 사고 있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