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물연대 "13일 총파업"…물류 비상 민노총 16일 가세땐 본격 '夏鬪정국' 빠져들듯 성행경 기자 saint@sed.co.kr 운송료 현실화를 촉구해온 화물연대의 파업 찬반투표가 시작된 9일 서울 양천구 신정동 서부화물터미널 주차장에는 기름 값 폭등 등으로 운행을 중단한 화물차들이 빼곡히 들어서 있다. 정부는 이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비상수송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홍인기기자 화물연대가 오는 13일부터 결국 총파업에 나서기로 했다. 이에 따라 사회 및 산업계 전반에 걸쳐 엄청난 물류 및 운송 대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화물연대는 9일 "총파업 찬반투표를 실시한 결과 1만3,000여명의 소속 화물차주 중 87.2%가 투표에 참가, 90.8%의 압도적인 찬성으로 파업을 결의했다"면서 "12일까지 정부와 화주가 화물차 노동자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13일부터 총파업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화물연대의 총파업 결정과 함께 민주노총도 6ㆍ10항쟁 21주년을 맞아 '100만 촛불대행진'이 열리는 10일부터 14일까지 닷새 동안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를 위한 총파업 조합원 찬반 투표를 실시, 이르면 16일부터 파업에 돌입할 것으로 보여 이달 중순부터 전국이 본격적인 '하투(夏鬪) 정국'에 빠져들 것으로 전망된다. 김달식 화물연대 본부장은 이날 찬반투표가 끝난 뒤 서울 대림동 공공운수연맹 본부에서 가진 '화물연대 총파업 선언' 기자회견에서 "표준요율제, 경유가 인하 등 핵심 요구안을 정부가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파업이 불가피하다"면서 "10일부터 지부별 총회를 시작으로 총파업을 위한 모든 행동 준비를 완료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본부장은 당장 파업에 돌입하지 않고 12일까지 유예기간을 둔 데 대해 "마지막까지 정부에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운송노동자들의 생존권을 보장하라고 촉구하기 위한 차원"이라며 "11~12일 지부장ㆍ대의원 등 간부들이 모여 대형 화주들과 운송 교섭에 나설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이날 화물연대 경남 창원동부지회 한국철강분회 소속 화물 운전자 180여명과 울산지부 현대 카캐리어분회 소속 지입차주 90여명은 운송료 35% 인상을 요구하며 이미 파업에 돌입, 물류 수송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한편 정부는 화물연대의 총파업에 대비해 비상수송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정부는 화물트럭 운송물량을 철도나 연안해운으로 돌리고 현재 확보하고 있는 100여대의 군 컨테이너 트럭을 긴급 투입할 계획이다. 또 자가용 화물차를 한시적으로 영업용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