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건설협회는 2006~2011년 연도별 국내 건설공사 원가를 분석한 결과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8.3%에 이르렀던 이윤율이 2010년 1.6%, 2011년 2.2%로 급락했다고 30일 밝혔다. 국내 건설공사 이윤율은 2007년 정점을 찍은 뒤 2008년 6.5%, 2009년 5.6%로 완만한 하강곡선을 그리다 재작년부터 확 내려갔다.
공사 규모로 나눠보면 지난해 기준 300억~1,000억원대 사업은 이윤은커녕 1.9%의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100억~300억원 규모의 공사는 1.3%, 1,000억원 이상 공사는 2.9%의 이윤율을 각각 기록했다.
공종별로는 조경 공사가 지난해 평균 8.7%의 이윤율을 보인 반면 건축과 산업설비는 각각 1.8%의 이윤율에 머물렀다.
처럼 국내 건설사업에서 이윤을 내기 어려워진 것은 계약금 대비 공사원가의 비율이 올라갔기 때문이다. 계약금에서 공사원가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6년 86.0%, 2007년 85.4%, 2008년 87.6%, 2009년 89.0%에 머물렀지만 2010년(92.5%)과 2011년(91.9%)에는 90%를 훌쩍 넘어섰다.
협회에 따르면 공공공사 발주 감소와 수익성 악화로 시공능력평가 100위권 건설사 중 20개사가 법정관리나 워크아웃을 진행 중이다.
/온라인뉴스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