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현지 시간) 미국 월스트리트 저널에 따르면 마 회장은 최근 베이징에서 행한 연설에서 “알리바바의 전자상 거래 부문이 너무 빨리 성장해왔다”며 “신규 채용은 자리가 생길 때에나 하겠다”고 밝혔다.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도 채용 계획이 없다는 마 회장의 발언을 소개하면서 이를 지난 2월의 ‘춘제 보너스’ 생략과 연결시켜 알리바바의 경영난 직면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 신문은 또 ‘효율’을 명분으로 채용 계획이 없다고 밝혔으나 이는 정부의 고용 권장 정책에 정면으로 맞서는 것이라는 논평도 곁들였다.
마 회장은 올해 춘제를 앞두고 가입자들에게 모바일 ‘훙바오’(紅包·보너스)를 뿌렸으나 직원들에게는 이메일을 통해 “2014년 성적은 훙바오를 뿌릴 만큼 만족스럽지 않다”며 춘제 보너스 지급 계획이 없음을 통보해 관심을 끈 바 있다.
알리바바는 지난 99년 저장(浙江)성 항저우(杭州)에서 출범한 이래 지난 수 년간 인원을 급격히 늘렸다. 현재 직원은 3만 4,081명으로 이는 지난해 말(2만 884명)에 비해 1만 3,000여 명 늘어난 것이다.
알리바바는 지난해 9월 250억달러라는 세계 증시사상 최대 규모의 기업공개(IPO)로 뉴욕 증시에 화려하게 데뷔했다. 이후 주가가 한 때 IPO 당시에 비해 약 70% 상승한 119달러에 도달했으나 29일(현지 시간) 85달러 수준으로 폭락하는 등 최근 주가가 곤두박질하면서 경영 압박이 증대돼왔다.
지난 1월 발표한 지난해 4분기 매출 실적은 전년 동기 재비 40% 감소한 262억위안(약 4조5,200억원)으로, 시장 전망치(44억달러.4조7,000억원)의 절반 수준이었다.
알리바바는 최근 중국정부로부터 전자상거래 과정의 위조상품 유통, 뇌물수수 등 불법행위를 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았고, 미국에서도 짝퉁 문제로 줄소송을 당할 처지에 놓였다는 보도가 이어져 왔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