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정부 인수위 당시 전문위원은 총 71명. 이 가운데 정부 관료는 34명이었다. 당시 관료의 파견 규모를 보면 MB 정부의 주요 정책 방향 및 정부 조직의 무게중심을 읽어볼 수 있다.
당시 전문위원 구성의 특징은 경제ㆍ산업 부처의 약진이었다. 2개 경제분과가 설치됐고 재정경제부, 기획예산처, 산업자원부(현 지식경제부) 등이 모두 2명씩 전문위원을 파견했다. 4대 강 사업을 이끌었던 국토해양부의 경우 타 부처 파견 인원까지 포함하면 총 3명을 인수위에 보냈다.
반면 MB 정부 출범과 함께 사라진 해양수산부ㆍ과학기술부는 단 한 명의 전문위원도 파견하지 못했다. MB 정부 초기의 '친기업' 정책과 거리가 있었던 공정거래위원회 역시 2명의 전문위원을 추천했으나 한 명도 선택 받지 못했다.
하지만 차기 정부는 경제민주화와 더불어 정부 조직개편을 통한 창조경제를 주요 공약으로 내세운 만큼 이번 인수위에서 부처별 파견 규모가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박근혜 당선인의 관심이 높은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관료 파견이 예상되고 경제민주화의 주무 부처인 공정위 관료의 위상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보건복지부와 환경부 역시 부처 내 국장급의 인수위 진출이 많아지기를 고대하고 있다.
경제부처는 부처별 전문위원 파견 규모와 함께 경제분과 간사를 누가 맡을지 파악하느라 분주한 모습이다.
MB 정부 인수위에서 경제 1ㆍ2분과 간사를 맡았던 강만수 현 산은금융지주 회장과 최경환 위원은 각각 기획재정부 장관과 지식경제부 장관으로 등용되며 거시ㆍ실물 경제 정책을 이끌었다. 차기 정부의 주요 경제정책 방향, 각 부처 고위공무원 인사 등이 이들 경제분과 간사의 입김에 따라 좌우될 수 있는 만큼 관가는 인수위의 인사 동향에 어느 때보다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각 부처별 전문위원은 다음주 초 인수위 출범과 함께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부처들은 내부적으로 이미 2~3명의 후보군을 만들어놓은 상태다.
다만 정부 부처 역시 정치권과 마찬가지로 박 당선인의 정확한 실세 라인을 파악하지 못해 다소 난감해 하는 분위기다. 정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여당 안팎의 여러 곳에서 후보군을 달라는 요청이 들어오는데 누가 박 당선자와 핫라인인지 종잡을 수가 없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