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인용(사진) 신임 국민안전처 장관이 "안전처의 해경 본부와 소방 본부 조직이 더 날렵해야 한다"고 말해 안전처 조직 개편에 대한 가능성을 내비쳤다.
박 장관은 8일 오후 정부 서울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안전처 조직의 구성에 대해 "조직이 비대하다거나 한쪽 다리가 얇을 경우 비정상적"이라면서 이 같은 견해를 밝혔다.
박 장관은 "아직 현황만 파악한 수준"이라면서도 "(안전처) 중앙소방본부·해양경비안전본부는 날렵해야 한다"고 말해 현재 조직 구성이 불균형적이라는 인식에 기반, 향후 조직 개편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반면 안전처 차관 밑의 기획조정실과 안전정책실·재난관리실·특수재난실 등 재해·재난 예방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는 조직들에 대해서는 다양한 민간 전문가들과 밀도 있는 조직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생각을 피력했다. 현재 안전처는 장관급 조직으로 차관급의 중앙소방본부와 해양경비본부가 있고 이성호 차관 아래 기획조정실·안전정책실·재난관리실·특수재난실로 구성돼 조직의 진용을 갖춘 상태다.
또 박 장관은 이날 "세월호 참사 때 상황보고가 지연돼 지휘체계가 왜곡됐다"고 말해 향후 재난사고 발생시 재빠르고 효율적인 수습과 현장 대처를 위해 지금보다 단순화된 체계로 현장 접근성을 높인 조직으로 안전처를 탈바꿈시키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한편 박 장관은 '오룡호 사고'에서 안전처의 대응이 늦었다는 지적에 대해 "대처가 늦은 게 아니다"라고 말해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박 장관은 "사고 난 지역은 (한국에서) 약 4,000㎞ 떨어진 곳"이라며 "갑자기 갈 수가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박 장관은 지난 4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골든타임이 지연됐다"고 인정한 바 있다. 또 해양사고의 경우 한·중·러·일 간의 협약에 따라 주변국의 구조지원을 신속하게 받을 수 있지만 이같은 재난 대응과 관련 국제적 협력 방안에 대해 전혀 모르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일 수 있는 지점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