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에는 인류의 오랜 염원이 담겨 있다. 방아 찧는 토끼에서 쥘 베른의 '지구에서 달나라까지(1865)'라는 공상과학소설까지 우주에 대한 관심은 동서고금이 없다. 20세기 중후반 이후 신비감은 다소 떨어졌어도 '스타트렉'이나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같이 우주를 소재로 하는 드라마나 영화는 흥행을 몰고 다닌다.
△허구의 세계뿐 아니다. 달과 별을 규명하고 가까이 다가가려는 각국의 노력은 지구촌의 관심거리다. 1969년 미국의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할 때는 전세계가 숨을 죽이고 지켜봤다. 중국의 유인우주선에 13억명이 넘는 인구가 열광한다. 문제는 돈. 천문학적인 돈이 들어간다. 미국은 아폴로계획에 1,090억달러, 유인우주왕복선에 1,965억달러를 쏟아부었다. 중국은 연간 40억달러 이상의 예산을 쓴다. 우리나라도 나라호 발사에 5,200억원을 투입했다. 한국형 발사체 개발에는 1조5,500억원의 예산이 잡혀 있다.
△고비용 우주의 극치는 돈 많은 우주 마니아들이다. 어려웠던 시절 러시아는 외국 갑부들에게 1인당 2,000~3,500만달러씩 받고 우주여행을 시켜줬다. 소유즈의 1회 발사 비용 600만달러를 몇 곱절 넘는 짭짤한 장사였다. 러시아는 다시금 사업을 재개할 예정이라니 나라살림이 펴졌어도 달러가 좋긴 좋은 모양이다. 제 1호 부자 우주여행객인 미국의 억만장자 데니스 티토는 10억~20억달러를 들여 5년 내 민간 화성여행을 추진할 계획이다.
△저비용 민간 우주여행이 화제다. 영국의 괴짜 사업가 리처드 브랜슨 버진그룹 회장이 구상하는 민간 우주관광이 지난달 시험비행에 성공하며 현실로 다가왔다. 머나먼 우주공간이 아니라 대기층을 살짝 넘어 4분간 비행하는 상품에 붙인 가격이 20만달러. 상대적으로 싼데다 까다로운 신체조건을 요구하지 않아 스티븐 호킹 박사에서 피트ㆍ졸리 부부까지 575명이 예약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시험비행 성공 이후 문의가 잇따르고 있단다. 수요 급증은 공급 가격 상승을 필연적으로 부르는지 버진사가 이달 중순께 가격을 25만달러로 올린다는 소식이 들린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