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 대졸자 4명 중 1명은 실업 상태이면서 교육·훈련도 받지 않는 '니트(NEET·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대졸자의 니트족 비중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3번째로 높은 수준이어서 대졸 청년을 위한 맞춤형 고용정책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됐다.
27일 국회입법조사처가 발간한 'OECD 주요 국가 청년 니트(NEET)의 특징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 기준 한국의 대졸자 니트족 비중은 24.4%로 그리스(39.2%), 터키(24.5%)에 이어 3번째로 높았다. OECD 평균(12.9%)과 비교하면 2배 가까이 높은 수치다. 특히 중졸(5.1%), 고졸(22.9%)보다 대졸자의 니트족 비중이 월등히 높았다. 이는 교육에 투자한 시간과 비용이 많아 양질의 일자리를 찾고 있는데 사회적으로 충족이 되지 않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사법고시 등 전문직 진출을 위해 비정규교육기관의 교육을 받는 청년이 많은 것도 이 같은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공시족(공무원시험 준비생)이나 고시족(고시 준비생) 등도 니트족에 포함된다.
이만우 국회입법조사처 사회문화조사실 보건복지여성팀장은 "우리나라에 대졸자 니트족 비중이 높은 이유는 고학력 청년들이 취업 준비기간을 늘려 양질의 일자리를 찾으려는 구직전략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청년(15~29세) 전체의 니트족 비중도 OECD 평균에 비해 높았다. 우리나라의 청년 니트족 비중은 18.5%로 조사대상 국가 가운데 8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OECD 평균은 15.5%로 조사됐으며 청년 니트족 비중이 가장 낮은 나라는 룩셈부르크(6.1%)로 우리나라의 3분의 1 수준으로 집계됐다.
우리나라의 니트족 비중이 이처럼 높게 나타남에 따라 맞춤형 고용복지 정책이 시급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OECD 보고서는 니트족을 구직 활동 여부에 따라 '실업 니트'와 '비경제활동 니트'로 구분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구직활동을 전혀 하지 않는 '비경제활동 니트'가 81.6%에 달했다. 이 팀장은 "직업 교육 등 취업 프로그램과 더불어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대졸자 고용 확대 정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강동효기자 kdhyo@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