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대남정책을 총괄하던 김양건 노동당 비서 겸 통일전선부장이 29일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김양건은 2007년 통일전선부장 자리에 오른 후 8년간 대남·대외라인을 책임졌던 북한 최고의 외교통이다. 그해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정상회담을 이끌었고 올 8월 서부전선 지뢰 도발로 남북 긴장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소위 '8·25합의'로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단시켜 영웅 칭호도 받았다. 이런 그가 갑작스럽게 사망한 것은 남북관계에 돌발변수임이 분명하다.
김양건의 공백이 커 보이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당장 대남정책의 기본틀이 바뀔 것 같지는 않다. 북한은 최고권력자 1인이 주요 정책을 모두 결정하는 유일지도 체제 사회로 법적으로는 1972년 사회주의 헌법 제정 이후, 실질적으로는 1966년 제2차 당 대표자대회 이후 확립됐다. 1인 지배를 위한 시스템이 50년간 작동하고 김정은이라는 정책결정자가 건재한데 부장 한 명 사라졌다고 정책방향이 바뀔 리는 없다. 변수는 있다. 김양건은 대화론자면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에게 자신의 의견을 전달하는 위치에 있었다. 수십년간 외교무대를 돌아다니며 구축한 인적 네트워크도 상당하다. 그의 사망이 김정은에게는 대남정책 조언자의 상실이고 우리에게는 유력한 대화채널 봉쇄라는 의미다. 남북관계의 단기적 냉각이 예상되는 이유다.
남북관계가 미묘한 시점이다. 이산가족 상봉으로 반짝했던 해빙 무드는 최근 차관급 당국회담 결렬로 다시 냉각기로 바뀌었다. 이런 시기에 등장한 김양건의 사망 변수는 우리에게 남북관계의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임이 분명하다. 당국은 앞으로 북한 대남정책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예의주시해 그에 맞는 대응전략을 짤 필요가 있다. 더불어 그들을 대화의 장으로 끌어내 새해를 한반도 긴장완화의 해로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김양건의 공백이 커 보이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당장 대남정책의 기본틀이 바뀔 것 같지는 않다. 북한은 최고권력자 1인이 주요 정책을 모두 결정하는 유일지도 체제 사회로 법적으로는 1972년 사회주의 헌법 제정 이후, 실질적으로는 1966년 제2차 당 대표자대회 이후 확립됐다. 1인 지배를 위한 시스템이 50년간 작동하고 김정은이라는 정책결정자가 건재한데 부장 한 명 사라졌다고 정책방향이 바뀔 리는 없다. 변수는 있다. 김양건은 대화론자면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에게 자신의 의견을 전달하는 위치에 있었다. 수십년간 외교무대를 돌아다니며 구축한 인적 네트워크도 상당하다. 그의 사망이 김정은에게는 대남정책 조언자의 상실이고 우리에게는 유력한 대화채널 봉쇄라는 의미다. 남북관계의 단기적 냉각이 예상되는 이유다.
남북관계가 미묘한 시점이다. 이산가족 상봉으로 반짝했던 해빙 무드는 최근 차관급 당국회담 결렬로 다시 냉각기로 바뀌었다. 이런 시기에 등장한 김양건의 사망 변수는 우리에게 남북관계의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임이 분명하다. 당국은 앞으로 북한 대남정책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예의주시해 그에 맞는 대응전략을 짤 필요가 있다. 더불어 그들을 대화의 장으로 끌어내 새해를 한반도 긴장완화의 해로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