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에서 두 대표의 ‘빅딜’이 흘러나오는 이유는 김 새누리당 대표와 문 새정연 대표가 각각 당에서 처한 상황 때문이다.
새누리당 내부에선 김 대표가 제안한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해 많은 의구심이 흘러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의 공직 후보를 뽑는데 당비를 내는 당원의 의견을 듣지 않는 문제와 공천의 30%를 여성 몫으로 떼어줘야 한다는 여성계의 목소리가 점차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오픈프라이머리를 통해 청와대로부터 공천 압박을 원천 제거할 경우 이에 반발한 친박 의원들의 ‘김무성’ 흔들기가 재현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김 대표가 주장하는 ‘100% 완전국민경선제’식의 오픈프라이머리가 아닌 야당과 협의를 통해 일정 부분 당원의 의사와 전략공천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는 모양새다.
문 새정연 대표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문 대표는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도입해야 하고 이를 위해 비례대표 의석수는 줄일 수 없다”며 사실상 농·어촌 지역구 의석수를 줄이는 방침에 동의하고 있다. 이에 비노가 주축이 된 전남·전북 도당 위원장이 성명을 내고 “비례대표를 줄여서라도 농어촌 지역 의석은 늘려야 한다”고 새누리당 주장에 힘을 보태며 문 대표를 겨냥하고 있어 수그러든 당 내홍이 다시 발생할 위기에 처해있다. 당 관계자는 “비례대표 의석수를 조금 줄이더라도 권역별 비례대표를 받아내는 전략을 짠다면 협상의 명분과 당내 안정을 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