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원내지도부 관계자는 "(대선 이후) 대기업에서 많이 찾아와 (경제민주화와 관련해) 누구한테 접촉을 해야 할지 묻는다"고 말했다. 원내지도부 관계자는 "박 당선인의 경제민주화 방향을 파악하기 위해 보통 국회 대관업무 담당자가 (의원회관을) 많이 찾는다"며 "삼성ㆍ현대 등의 기업은 실무진 이상의 급이 직접 친한 국회의원과 접촉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현재 기업에서 주목하고 있는 쪽은 새누리당 경선 캠프의 총괄본부장이었던 친박 핵심인 최경환 의원과 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종합상황실장을 맡았던 권영세 전 의원 등이다. 이들은 박 당선인의 비서실장으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 박 당선인의 정책 수립을 주도적으로 담당했던 안종범ㆍ강석훈 의원도 주목 대상이다.
경제계에서는 경제민주화 정책 중에서도 순환출자 금지와 금산분리 등에 주목하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의 이철행 기업정책팀장은 "순환출자나 금산분리는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에 기존 시스템에서 당연하게 받아들여졌던 것을 바꾸는 데 논란이 많이 있을 것"이라며 "입법화돼 한번 도입되면 다시 되돌리기 힘이 드니 논의 과정은 신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순환출자의 경우 김종인 전 중앙선대위 국민행복추진위원장과 이한구 원내대표가 기존 순환출자 해소 여부를 놓고 대립하는 모습을 보여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진행될 것인지 관심이 집중되는 상황이다.
김 전 위원장이 대선 다음날인 20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를 발족하고 국정 전반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때 경제민주화도 빠질 수 없는 사안으로 그 과정에서 다시 한번 (기존 순환출자 해소를) 거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것에 대해 이 원내대표가 23일 "인수위에서 뭔가 새로 논의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일축한 바 있다.
이처럼 새누리당 내에서 경제정책을 두고 파열음이 나오는 가운데 어떤 인물이 경제 수장에 앉느냐에 대한 인선도 경제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경제 수장들의 성향 등이 경제정책에 반영되고 투영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