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재정위기 등의 영향으로 한때 기대를 모았던 탄소 배출권 시장이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에 빠져들고 있다. 이에 따라 28일 남아공 더반에서 개막한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도 별다른 성과를 올리지 못할 것이라는 비관론이 나오고 있다. 27일 주요 외신에 따르면 주요 투자자들의 엑소더스 현상이 줄을 이으면서 탄소배출 거래 가격이 줄줄이 떨어지고 있다. 유럽연합배출권거래기구(EU ETS)에서 거래되는 탄소배출권(CER) 가격은 지난 주 5.90유로까지 떨어지며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미 주요 상품 트레이더들과 월가 은행들은 탄소 배출권 시장이 수익성이 없다고 판단하고 발을 빼고 있는 실정이다. 탄소 배출권 시장의 큰 손 노릇을 하던 중국계 원자재 트레이딩 기업 노블그룹은 이달 초 투자자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탄소 배출권 거래 시장에서 유동성이 고갈되고 있다"며 "투자활동을 제한하겠다"고 밝혔다. FT는 "이처럼 탄소 배출권 가격이 급락하면서 글로벌 기업들이 탄소 감축에 적극적으로 나설지에 대한 회의론이 커지고 있다"고 전망했다. 여기에 유럽 재정위기로 탄소 배출권 거래시장이 융단폭격을 맞으면서 더반 회의에서 온실가스 감축 논의가 후퇴할 것이라는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각국의 재정난으로 녹색기후기금 마련에 적신호가 켜진데다 탄소 배출권 거래시장마저 급속히 위축돼 지난 2년간의 노력의 물거품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번 더반 회의는 칸쿤 총회 때 합의한 1,000억달러 규모의 녹색기후기금 재원을 어떻게 조달하고 누가 운영할지 명문화하는 것을 주요 의제로 삼고 있다. 녹색기후기금은 개발도상국들이 기후변화에 대처할 수 있도록 선진국 중심으로 오는 2020년까지 매년 1,000억달러에 이르는 기금을 조성하고 교토의정서 효력이 정지되는 2012년 말까지 '패스트 스타트(fast-start) 기금' 300억 달러를 조속히 집행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하지만 미국이 자국의 부담을 이유로 기금 마련 프로젝트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밝히고 있는데다 다른 선진국들도 재정위기를 이유로 기금 출연을 미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협상이 진전을 이루지 못할 가능성이 짙어지고 있다. 미국의 소극적인 태도에 미-중 갈등도 불거지고 있다. 시에 전화 중국 기후변화 담당관은 중국이 세계 최대 온실가스 배출국임을 인정한다면서도 "선진국들이 산업혁명 이후 지난 200년간 어마어마한 이산화탄소를 뿜어낸 만큼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이 개도국을 위한 기금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밖에 선진국과 개도국간 대립도 이어질 전망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EU 및 캐나다․ 일본은 주요 개도국과 선진국은 함께 의무감축체제에 참여하는 단일 협약채택을 주장하는 반면 중국, 인도, 브라질 등 주요 개도국들은 선진국의 의무감축 및 개도국의 자발적 감축이라는 이원적 체제를 지지하고 있다"며 "더반 회의가 난항에 부딪힐 것"이라고 전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