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현지시간) 미국 법무부의 FARA(외국로비정보공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해 초까지 주미 일본대사관은 워싱턴 대형 로펌인 ‘헥트 스펜서 앤드 어소시어츠’, ‘호건 로벨스’와 용역계약을 맺고 미국 의회와 행정부, 각종 싱크탱크를 상대로 로비를 전개했다.
계약 내용은 일반적인 일본 정부의 입장과 외교관계를 대변하는 차원을 넘어 △(독도 영유권 문제와 관련된)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군대 위안부’와 관련한 2차 세계대전 관련 사항 △버지니아주의 동해병기 교과서 채택 법안과 관련해 로비를 펴는 것까지 포함돼 있다.
이 같은 계약에 따라 헥트 스펜서는 지난해 9월부터 6개월간 존 베이너 하원의장과 에드 로이스(공화·캘리포니아) 하원 외교위원장, 켄 캘버트 하원의원 등을, 호건 로벨스는 같은 기간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 당시 백악관 참모를 지낸 다나 로라바처(공화·캘리포니아) 하원의원, 하원 외교위 간사인 엘리엣 엥겔(민주·뉴욕) 하원의원,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보좌관 출신인 마이클 그린 CSIS(전략국제문제연구소) 연구원 등을 만나거나 이메일 접촉을 가지며 로비를 벌였다.
법무부 자료에 따르면 이 같은 로비 활동을 위해 일본 정부는 6개월간 헥트 스펜서와 7만5,000 달러에, 호건 로벨스와는 21만 달러에 각각 용역계약을 맺었다.
양측간 계약이 연장된 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헥트 스펜서의 경우 2000년대 초반부터 주미 일본대사관과 용역 계약을 이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