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4년제 대학 3∼4학년 학생 1,123명을 대상으로 ‘대학생의 교육투자에 따른 희망임금과 취업 선호도’를 조사, 분석한 결과, 대학생들의 주간 학습시간은 평균 8.89시간을 기록했다.
가장 많은 시간을 차지하는 것은 영어로 3.94시간에 달했고, 공무원시험 공부(2.40시간), 전공 공부(1.98시간), 제2외국어 공부(0.51시간), 교육훈련(0.10시간)이 뒤를 이었다.
대학생의 연간 사교육비는 연간 평균 20만5,000원이었다. 이중 절반에 가까운 10만2,000원을 영어가 차지했고 전공과목을 위해서는 4만8,000원만 투자했다. 공무원 시험을 위해서는 4만2,000원이 들었다.
성별로 보면 여학생이 9,74시간을 공부하면서 30만1,000원을 투자해 남학생(8.39시간, 14만9,000원)보다 시간과 비용을 더 들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학 소재지별로 보면 서울의 대학생이 일주일에 10.47시간을 공부해 지방(8.38시간)이나 수도권(7.32시간) 대학생보다 학습시간이 길었다.
사교육비용은 수도권 학생이 28만2천원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23만1천원), 지방(17만4천원) 순이었다.
교육에 시간과 비용을 많이 투자할수록 희망하는 임금 수준이 높았다.
일주일 공부시간이 2시간 미만인 학생들의 희망 임금은 평균 205만원, 2시간 이상∼14시간 미만은 212만9,000원, 14시간 이상은 221만1,000원이었다.
사교육에 전혀 투자하지 않은 학생들의 희망 임금은 210만원, 연간 사교육비가 24만원 미만인 학생은 213만4,000원, 24만원 이상은 214만6,000원이었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