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10일 러시아 우파에서 폐막한 SCO 이사회는 현재 옵서버 참가국인 인도와 파키스탄을 정식 회원국으로 승격시켰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등이 참석한 SCO 이사회는 또 벨라루스를 옵서버 국가로, 아제르바이잔·아르메니아·캄보디아·네팔을 '대화 상대국'으로 참여시켰다. 정식 회원국 참여를 신청한 이란은 이번에 회원국 자격을 얻는 데 실패했지만 이르면 내년에 다시 가입심사가 이뤄질 것이라고 SCO는 전했다. 신화통신은 현재 중국·러시아와 함께 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우즈베키스탄 등 6개국으로 구성된 SCO에 인도와 파키스탄이 가세하면서 유라시아 최고의 안보 및 경제동맹체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과 러시아가 인도와 파키스탄의 SCO 가입을 적극 추진한 것은 미국과 유럽의 압박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특히 남중국해 문제 등으로 미국과 갈등을 겪고 있는 중국은 인도와 파키스탄을 끌어안음으로써 미국에 대한 세 과시와 일대일로 프로젝트의 우호세력 확보를 노린 것으로 보인다. 국경이 맞닿은 두 국가와의 협력을 통해 중국으로 세력을 확대하려는 이슬람국가(IS) 등 테러세력을 견제하려는 의도도 담겨 있다. 러시아 입장에서도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서방의 압박에 대응하는 한편 1990년대 중후반에 등장했던 러시아·중국·인도 간 삼각동맹의 부활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게 됐다.
일각에서는 적대적 관계를 유지했던 인도와 파키스탄의 SCO 동시가입은 중국의 경제력이 만들어낸 새로운 국제질서의 단면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시 주석은 SCO 회원국들에 "실크로드기금, 중국·유라시아경제협력기금 등을 기반으로 SCO 회원국 등의 인프라 건설 및 협력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일대일로는 흔들림 없이 추진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SCO 정상회의에서는 SCO 10개년 발전전략, 접경지역 군사협력, 2차대전 종전 70주년 협력 등 안보·경제 협력방안이 합의됐으며, 특히 10개년 발전전략은 SCO 사상 처음으로 이뤄진 중장기 합의서로 평가된다.
한편 시 주석은 앞서 열린 브릭스 정상회의 연설에서 일본을 겨냥해 역사 왜곡에 대한 국제공조를 강화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시 주석은 "평화를 사랑하는 브릭스 국가 및 국민들이 제2차 세계대전이라는 아픈 역사를 부인하고 왜곡, 날조하려는 시도에 강경히 반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SCO 정상회의에서는 역사 왜곡 반대 공동성명을 이끌어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