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경기도가 발표한 ‘경제 FGI(Focus Group Interview)’결과에 따르면 전통시장 상인들은 오는 9월 매출 및 경기 전망에 대해 145포인트(점수를 나타냄)를 나타내는 등 최저 110포인트 이상으로 조사돼 8월의 최고 80포인트, 최저 55포인트와 크게 대조를 보이며 9월 경기를 밝게 전망하고 있다.
이에 반해 가정주부들은 7∼8월은 물론 9월 전망 모두 조사항목 전체가 50포인트를 넘지 못해 상인 및 중소기업과 대조를 보였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도는 전통시장과 중소기업의 경우 9월 추석 명절 경기와 여름 휴가철 이후 대기업 등의 본격적인 산업 활동 재개에 따른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으나 가정주부는 부동산가격 하락에 따른 금융비용 상승과 사교육비 가중, 물가 불안 등으로 체감경기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보인 것으로 분석했다.
이번 조사결과는 경기도가 지난 10~14일까지 도내 중소기업CEO, 산업단지 관계자, 전통시장 상인, 자영업자, 가정주부 등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층인터뷰 결과에 따른 것이다.
도는 중소기업대표와 자영업자 전통시장 상인에게는 경기전망과 매출, 가동률, 인력상황, 자금상황에 대해, 가정주부에게는 경기전망과 물가, 부동산, 사교육비, 가계대출 등 모두 9개 항목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이를 점수화 했다. 평가는 0점에서 200점까지 이뤄지며 100포인트를 넘으면 조사항목에 긍정적, 100포인트 미만은 부정적 전망을 나타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