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한국의 운명을 가른 주요 외교 문서들이 책으로 발간됐다.
동북아역사재단은 1876년 일명 강화도조약을 비롯해 1882년 미국ㆍ영국 등과 맺은 국제조약을 정리한 '근대한국외교문서' 2차분 제3~5권을 내놓았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출간은 조선왕조의 명운을 가른 일본, 미국, 영국과의 조약 관련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지난 2009년 발간된 1권 '제너럴셔먼호사건ㆍ병인양요', 2권 '오페르트사건ㆍ신미양요'에 이어 이번에 나온 세 권은 근대 조선이 일본, 미국, 영국과 체결한 조약의 역사적 의미를 조명하고 있다. 3권은 '조일수호조규'(통칭 강화도조약)를, 4권은 '조미수호통상조약'을, 5권은 '조영수호통상조약'을 각각 다룬다. 조일수호조규는 '강화도사건'을 일으킨 일본과 조선이 1876년 체결한 것이다. 당시 일본은 "만국공법에 입각해 조선과의 관계를 다시 수립해야 서구열강이 납득할 수 있다"는 점을 조약 체결의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조선은 조약 체결이 옛 '우의'(友誼)를 회복한 것에 불과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조일수호조규 제1조의 '조선은 자주지방'이라는 규정에서 '자주(自主)'는 사대교린 질서의 개념이었던 바, 이것이 조선이 제1조의 구절을 아무런 반대 없이 수락한 배경이 됐다는 게 재단 측의 설명이다.
조선은 이어 조미수호통상조약, 조영수호통상조약의 체결로 서구의 조약체제로 본격 편입된다. 하지만 서구의 조약체제가 당시 조선의 '종주국'임을 자처했던 청의 '조공ㆍ책봉체제'와 충돌하면서 조선의 국제적 위치가 모호하게 돼 결국에는 청일전쟁으로까지 비화하는 역사적 계기가 된다.
재단은 "이번에 발간된 세 권의 근대한국외교문서는 조선이 동아시아의 전통적 외교질서체제였던 '조공ㆍ책봉체제'로부터 서구의 '조약체제'로 이행하는 시기를 다룬 것"이라면서 "당시 조선을 둘러싼 열강들의 패권 다툼의 양상을 오늘날의 긴박한 동북아 상황과 비교 검토해 볼 수 있어 현재와 미래의 외교정책 수립에도 훌륭한 지침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근대한국외교문서' 시리즈는 근대한국외교문서편찬위원회가 총 30여권 발간을 목표로 추진 중인 근대한국 외교문서 편찬작업의 일환으로 발간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