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원회는 ‘하이테크(TECH, Trust·Economy·Change·Honor, 신뢰·경제·변화·품격)’라는 키워드를 제시하며 경제정당과 중도로의 이념확장을 집권의 선결 조건으로 내걸었다.
보고서는 “새정치연합이 서민의 지지를 받고 있는 것은 알려져 있음에도 서민의 정당만을 표방해선 안 된다”며 “중도층, 중산층, 중년 지지자들을 끌어들여야 한다”고 명시했다. 마크 주한 미국 대사를 피습한 김기종 씨와 새정치연합 일부 의원과의 친분이 공개돼 ‘종북 숙주’ 논란이 계속해서 불거지는 등 “당의 정치적 이념을 중도화 하고 특히 안보도 국민적 공감대 선에서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반영된 것이다.
또 위원회는 한국의 선거가 ‘경제선거’로 치러진다며 문재인 당 대표가 구호로 내건 ‘유능한 경제정당’으로의 길을 강조했다.
보고서는 “전통적으로 한국의 대선은 민주화, 정권교체, 세대교체 등의 이슈로 치러진 정치선거의 성격을 가졌으나 1997년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경제이슈가 점차 정치이슈를 대체하기 시작했다”며 “역동적인 시장경제와 공정한 사회의 조화를 꾀하고, 좋은 직장, 두둑한 보상, 지속 가능한 미래가 보장되는 ‘포용적 번영’을 이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새정치연합이 최저임금 인상을 4월 임시국회에서 처리하겠다고 공언한 것도 야당식 소득주도 경제해법으로 승부수를 띄운 것이라는 평가가 많다.
아울러 위원회는 또 “지역별 인구 변동을 고려해 수도권과 충청을 장악해야 한다. 호남을 다독이고 충청을 껴안아야 한다”며 “2030세대 뿐 아니라 40~60대를 대변해 ‘386 세대’와 ‘유신세대’의 지지를 되돌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내 계파갈등에 대해서도 “해체가 불가능하다면 감정싸움이 아닌 정책과 노선을 중심으로 경쟁하는 ‘화이부동((和而不同·서로 생각은 다를 수 있지만 화목 하고 단합한다)’ 문화를 정착시켜야 한다”며 “문재인 대표 취임 초기 정청래 최고위원과의 갈등 최소화, 이완구 총리 인준 시 전체 의원 참석 등 당내 단결이 지지율을 이끌었다”고 밝혔다.
…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