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대 간호학과 차은정씨는 외국에 자녀, 부인을 보내고 한국에 남아 경제활동을 하며 혼자 생활하는 35~59세 기혼남성 151명을 대상으로 환경적 특성과 신체적ㆍ정신적 건강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대상의 76.8%가 영양불량 상태로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이들 중 영양상태가 ‘매우 양호’한 것으로 조사된 사람은 1명도 없었고 ‘양호’한 사람도 전체의 8.6%에 그쳤다.
이 같은 내용은 차 씨의 박사학위 논문 ‘기러기 아빠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예측모형 구축’을 통해 발표됐다.
이들의 월수입은 ▦600만~800만원 미만 17.2% ▦800만~1,000만원 미만 12.6% ▦1,000만원 이상이 23.2% 등으로 비교적 높은 소득을 거두는 사람이 많았다. 고소득자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영양상태가 전반적으로 나쁘게 나온 것이다.
또 조사대상 중 29.6%는 우울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과 떨어져 사는 기간은 평균 39.4개월로 조사됐다.
차 씨는 “대상자에 한계가 있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는 어렵지만 기러기 아빠들의 영양상태에 대한 재확인과 정밀한 영양조사,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