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현지시간) 뉴질랜드중앙은행(RBNZ)은 기준금리를 현행 2.5%에서 0.25% 포인트 오른 2.75%로 인상한다고 밝혔다. 뉴질랜드는 평균 물가 상승률을 2.0% 수준에서 억제하기 위해 지난 2011년 3월 이후 3년 만에 금리인상을 단행한다고 전했다.
그레임 휠러 RBNZ 총재도 성명에서 "물가인상 압력이 고조되고 있으며 앞으로 2년간 같은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금리인상 배경을 설명했다. 휠러 총재는 이어 경기팽창 가능성을 감안해 내년도 성장전망을 종전의 3.0%에서 3.5%로 상향 조정한다고 말했다.
뉴질랜드가 선진국 금리인상의 첫 테이프를 끊으면서 선진국 내에 '금리인상 도미노' 가 촉발될지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일단 시장의 초점은 다음주 열릴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준이 선제안내를 통해 금리인상 시기에 대한 힌트를 내놓을지로 이동하고 있다. 연준의 선제안내에 따라 선진국들의 출구전략 시기가 조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과 유럽·일본·호주 등은 금융위기 이후 위축된 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해 대부분 금리를 낮은 수준에서 동결하는 저금리 정책을 실시해왔다. 하지만 선진권의 경기가 조금씩 회복되면서 최근 마크 카니 영국 중앙은행(BOE) 총재는 영국 기준금리가 향후 3년간 6배가량 뛸 수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다만 미국과 유로존(유로화 사용 18개국)의 경기회복세가 생각보다 미약할 수 있다는 진단이 나와 뉴질랜드의 금리인상이 이른 시일 내에 인상 도미노를 촉발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이날 스탠리 피셔 미 연준 부의장 지명자는 인준청문회에 앞서 상원에 제출한 응답서에서 "미국의 실업률이 6.7%로 아직 높아 (긴축 대신) 경기확장적 통화정책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면서 "실업률 개선과 물가안정이라는 목표를 모두 달성할 때까지 확장적 통화정책의 지속성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특히 선진국들이 경기상승을 기반으로 금리인상 기조로 이동하게 되면 신흥국들이 느끼는 금리인상 압력은 더욱 커져 가뜩이나 위기권인 신흥국 경제를 옥죌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실제 이날 뉴질랜드달러 가치는 금리인상 공고가 나온 직후 주요국 통화 대비 일제히 오름세로 돌아섰다. 블룸버그통신은 "연준의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이 본격화되고 선진국들의 금리가 오르면 신흥국들의 화폐가치는 더욱 떨어질 것"이라며 "통화절하를 막기 위한 선제조치로 연준의 메시지에 주목하는 국가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