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측 민간단체인 '광복 70돌, 6·15 공동선언 15돌 민족공동행사 준비위원회' 관계자들은 23일 개성에서 북측 준비위원회 관계자들과 만나 8·15 기념행사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에 대해 정부의 한 고위당국자는 "민간을 통해서라도 남북 간 접촉 및 관계개선의 물꼬를 트려고 노력하고 있다"면서 "그런 차원에서 개성 실무접촉을 승인했다"고 설명했다.
남북관계 개선 방안과 관련해 이 당국자는 "흔히 말하는 '비선, 옛날식 민간 브로커'는 안 하는 것이고 그 외에 필요한 것들을 검토하고 있다"며 정치권을 중심으로 제기된 대북 특사 파견에 대한 검토 진행을 시사했다. 공식 조직을 통해 투명하게 추진하되 남북관계의 특수성을 감안한 비공개 등 다양한 방안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정부는 5·24 제재 조치, 금강산 관광 등 주요 현안들을 북한과 대화를 통해 협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어떤 방식으로 북한에 대화를 제안할지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는 게 이 당국자의 설명이다.
올해 들어 남북 당국 간 회담은 지난 16일 개성공단 공동위원회 제6차 회의가 한 번 열리는 데 그쳤다. 결국 합의점 도출에 실패한 개성공단 공동위에 대해 이 당국자는 "오랜 시간 많은 이야기를 주고받아 서로의 입장을 이해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북한이 언제 다시 우리 정부와의 대화에 나설지는 미지수다. 남북관계 개선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8·15 기념행사의 남북 공동개최에는 난관이 예상된다. 정부는 6·15 기념행사에 이어 이번 행사에 대해서도 "정치적 행사는 논란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곤란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6·15 기념행사 남북 공동개최 추진 과정에서 북한은 그러한 우리 정부의 입장을 비난하면서 실무협의를 일방적으로 중단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