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현지시간) 로이터에 따르면 미 8개 철강사는 지난 16일 한국산과 터키산의 용접 탄소강·합금강 송유관(line pipe)에 대한 반덤핑 및 상계관세 부과를 요구하는 소송을 자국 상무부에 제기했다. 피소 업체는 동부제철·현대하이스코·넥스틸·풍산 등 13개 업체다. 한국 업체들의 이 제품 대미 수출액은 미국의 셰일 혁명에 힘입어 크게 늘어 2011년 4억7,300만달러, 2012년 6억5,500만달러, 지난해 5억5,500만달러를 기록했다.
미 철강사들은 "한국산 제품에 58.83∼221.54%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해야 하고 한국 업체들이 수출금융 등 11건의 정부 보조금 지급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아 수출하는 만큼, 상계관세도 부과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미 상무부는 다음 달 6일 조사 개시 여부를 결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미국국제무역위원회(USITC)도 다음 달 중 자국 철강 산업이 실제 피해를 봤는지에 예비판정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
미 철강업계의 한국 업체에 대한 반덤핑 제소는 지난해 하반기 이후에만 다섯 번째이며 상계관세 제소도 이번이 세 번째다. 더구나 버락 오바마 행정부 역시 올해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제조업 애국주의'를 가속화하고 있어 한국 업체에 불리한 판정이 뒤따를 가능성이 높다.
한국산 유정용 강관 제조업체(OCTG)에 대한 판정 번복 사례가 대표적이다. 2월 미 상무부는 자국 업체들의 제소에도 불구하고 현대하이스코 등에 대해 무혐의 예비판정을 내렸다. 하지만 올 6월 US스틸 등 미 철강업체들이 "한국·중국의 저가 제품 때문에 미국인의 일자리가 위협받고 있다"며 일부 공장의 가동을 일시 중단하며 압박하자 올 8월 최대 15.75%의 반덤핑 최종 판정을 내리며 종전 판정을 뒤집었다.
미국 철강업계는 지난해 9월에도 한국산 방향성 전기강판(GOES)에 대한 반덤핑 제소를 통해 상무부로부터 3.68% 관세 부과라는 판정을 얻어내기도 했다. 상무부는 같은 시기에 이뤄진 무방향성 전기강판(NOES)에 대한 반덤핑 및 상계관세 제소도 인정해 6.88%의 반덤핑 관세와 0.65% 상계관세 부과 결정을 내렸다.
방향성 및 무방향성 전기강판에 대한 USITC의 최종 산업피해 여부 판정은 다음 달 10일께 나온다. 이밖에 미 철강업체들은 한국산 강철 못(steel nail)에 대해서도 5월 반덤핑 및 상계관세 부과를 위한 소를 제기한 상태로 조만간 상무부의 예비판정 결과가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