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계 핵심으로 지도부 입성에 성공한 이혜훈 의원은 이날 정견 발표에서 "여성 대통령을 만들겠다는 당이 여성 후보에게 표를 안 주면서 국민에게 호소할 수 있겠느냐"고 강조해 박 전 위원장을 당 대선 후보로 기정사실화했다. 역시 친박계로 지도부 경선에 나선 유기준 의원도 "18대 총선에서 공천을 못 받고 무소속으로 나섰다 박 위원장께서 '살아 돌아오라'고 말씀해주셔서 당선돼 지금 이 자리까지 서게 됐다"고 밝혀 향후 당무에 박 전 위원장의 의중을 충실히 반영할 계획임을 천명하기도 했다.
새 지도부를 구성한 친박 인사들은 모두 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을 강하게 반대하며 박 위원장과 '코드'를 맞추고 있다. 비박 대선 주자들이 당 지도부와 상당한 마찰이 불가피해 비박 후보들의 대응 정도에 따라 당 전체가 극도의 혼란에 휩싸일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박 전 위원장은 지도부가 사실상 친정체제나 다름없어 비박 주자들의 '견제'와 `비판'에 일일이 대응하지 않고 대선 로드맵에 따라 묵묵히 제 갈 길을 갈 것으로 알려졌다. 비박 주자들이 이미 대선 출마를 선언한 것과 달리 출마 선언도 일러야 다음달 초에나 할 것으로 보인다. 박 전 위원장은 논란의 초점인 오픈 프라이머리와 개헌에 대해서도 원칙적 입장만 밝히고 지도부에 일임하며 정치적 시비 가능성을 차단할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박 전 위원장과 지도부의 반대와 관계없이 민주통합당 등 야권에서 완전국민경선 등에 대해 흥행 분위기를 띄우고 나오면 논란은 언제든지 재점화해 새누리당을 집어 삼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새 지도부를 대표하게 될 황우여 의원은 "경선에서 화합하면 우리는 대선에서 승리하고 분열하면 패배한다"며 "친박ㆍ비박ㆍ친이가 없는 단 하나의 새누리당으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