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춘선(사진) 인천항만공사(IPA) 사장은 "대륙을 오가는 대형 외국선사들은 기항지를 선택할 때 적정수심 등 안정성을 중시한다"면서 "인천 신항이 제 역할을 하려면 16m의 수심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추가 수심 확보를 위해서는 준설에 5,000억원의 엄청난 재원이 투입돼야 하는 만큼 사업을 보다 정밀하게 들여다보고 경제성 검토 등 정부와 긴밀하게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항만 배후단지 조성과 관련 정부 재정 지원이 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천항 항만배후단지 조성비용에 대한 정부의 재정부담률은 25%인 반면, 광양항은 100%, 부산, 평택ㆍ당진항은 50%가 지원됐다.
그는 "정부 지원이 적으면 공사의 재원 투입비율이 높아지고 금액도 커지기 때문에 이용자와 고객에 대한 서비스 비용 상승 요인이 돼 그 만큼 경쟁력이 낮아지게 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