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tSectionName(); [김정일 訪中] '6者 복귀' 구체 조건·절차도 논의한듯 ■ 中지도부 연쇄회담경제지원등 최대 효과위해 '복귀 카드' 활용시기 저울질 예상 베이징=이병관특파원 yhlee@sed.co.kr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이번 방중 목적은 6자회담, 천안함 사태에 대한 해명 필요성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갈수록 피폐해지는 북한 경제를 더 이상 이대로 둘 수 없다는 절박감이 작용했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한반도 비핵화를 강조해왔던 중국 측도 북한에 대한 경제 지원을 지렛대로 북한을 6자회담의 틀로 끌어들일 수 있다는 점에서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일각에서는 김 위원장이 6일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과 함께할 것으로 예상됐던 북ㆍ중 우의의 상징물인 '홍루몽' 참관을 하지 않고 이날 오후 조기 귀국길에 오르면서 6자회담과 양국 간 경협을 바라보는 서로의 눈높이가 달랐던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중국 측이 천안함 사태에도 불구하고 김 위원장에게 극빈한 대우를 한 점, 전통적 혈맹과 내밀한 성격의 북ㆍ중관계를 고려할 때 시간이 지나봐야 정상회담의 결과물이 표출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6일 열린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와의 회담에서 김 위원장이 개혁ㆍ개방 의지를 강조하며 대규모 대북 투자 및 경제 지원을 요청한 것은 어떻게든 북한 경제에 마중물을 부어보려는 안간힘으로 해석된다. 중국의 대규모 경제 지원을 효과적으로, 최대한 많이 받기 위해 김 위원장은 6자회담 카드를 언제, 어떻게 활용할지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장 북한은 식량난으로 상당수의 인민들이 굶주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 최고지도자의 체면상 대놓고 식량 지원을 요청할 수 없으니 경제원조나 투자의 형식으로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는 절박한 현실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베이징의 한 북한 전문가는 "북한은 지난해 120만톤의 곡물이 부족해 심각한 식량난을 겪었는데 올해 춘궁기가 다가오면서 더욱더 심각한 상태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 같은 식량난을 비롯한 경기침체를 타개하기 위해 현재 의욕적으로 개발 중인 두만강 유역의 라진ㆍ선봉 특구에 대한 개방ㆍ개혁 청사진을 밝히면서 중국 측에 대규모 투자 및 경제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천안함 사태를 둘러싸고 북한에 불리하게 전개되고 있는 상황이 김 위원장의 방중 시기를 앞당기기는 했지만 기본적으로 경제 문제를 해결할 필요성이 컸다는 게 상당수 경제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3남 김정은의 후계구도 안착을 위해서도 북한의 경제난 해결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인민이 굶주리는 마당에 후계구도를 대내외에 공식화한다는 게 모양새가 좋지 않기 때문이다. 김 위원장은 중국의 경제 지원 대가로 북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6자회담에 복귀할 의사가 있음을 원칙적으로 밝히고 김 위원장을 수행한 고위실무진이 중국 측과 구체적인 복귀 조건 및 절차 문제를 협의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현재 6자회담 복귀의 전제조건으로 북미 평화협정 체결과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해제를 내걸고 있는데 이 부분에서 중국 측에 전향적인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의 한 외교 소식통은 "유엔 안보리 제제 해제 문제는 안보리 투표 절차를 거쳐야 하는 만큼 쉬운 일이 아니지만 북미 평화협정 체결의 경우 일단 6자회담의 틀로 들어와서 논의해보자는 식의 유연한 얘기들이 북한과 중국 사이에서 오갔을 수 있다"고 말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