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진보당이 28일 중앙 당기위원회를 열고 이석기∙김재연 비례대표 당선자 제명 등 징계에 돌입했지만 더딘 절차에 두 사람이 30일부터 국회의원 임기를 시작하게 돼 '종북 의원' 논란이 거세지게 됐다. 이석기∙김재연 당선자의 신분도 개개인이 헌법기관인 국회의원으로 확연히 달라져 당내 제명이 더욱 까다로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진보당 사태에 종북세력에 대한 국민적 우려가 커지자 이명박 대통령도 취임 후 처음으로 '종북주의자'를 언급하며 비판에 가세한 것으로 분석된다.
진보당은 이날 중앙 당기위를 개최해 비례대표 후보 사퇴를 거부한 이석기∙김재연 당선자와 조윤숙∙황선 후보 등에 대한 징계를 서울시 당기위에 회부해 일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진보당의 이 같은 절차는 경기도당으로 당적을 바꾼 이석기∙김재연 당선자의 제명 등 출당을 현실화하기 위한 조치다. 경기도당은 구당권파의 세력이 강한 데 비해 서울시당은 혁신비상대책위원회를 주축으로 한 신당권파가 다수를 점하고 있다.
그러나 징계 결정에 대한 당사자의 이의신청 기간 등을 고려할 때 이석기∙김재연 당선자가 30일부터 국회의원 임기를 시작하는 데 걸림돌은 없다. 두 사람은 헌법기관인 국회의원으로 4년간 불체포특권과 면책특권을 갖는다. 이석기∙김재연 당선자가 국회의원 신분을 갖게 되면 진보당 당기위에서 최종 제명이 결정되도 의총을 거쳐 당내 의원 13명 중 과반이 제명에 찬성해야 한다. 구당권파 의원들은 이석기∙김재연 당선자를 합쳐 5명인데다 이정희 전 대표가 비례대표로 추천한 정진후∙김제남 당선자는 중립 성향으로 제명 찬성 여부를 명확히 밝히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부정경선을 통해 당선돼 종북주의 논란까지 빚고 있는 의원의 국회 입성을 둘러싼 논란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새누리당은 두 의원에 대해 국회 제명 절차를 밟자고 제안해놓고 있지만 민주통합당은 헌법이 보호하는 의원 신분을 함부로 건드리는 것은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며 사실상 반대 입장이다.
하지만 국내 종북세력에 대한 국민적 우려는 진보당 사태로 크게 고조된 상태다. 이 대통령이 이날 야권의 '색깔론' 역공을 예상하고도 작심한 듯 "종북주의자를 북한보다 더 큰 문제"로 규정한 것은 종북세력에 대한 싸늘한 여론을 파악했기 때문이라는 게 여권의 관측이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진보당 사태 등을 직접 지켜보면서 국민이 종북 좌파의 실체에 대해 냉정하고 이성적인 판단을 하기 시작했다"면서 "전체적으로 변화의 분위기가 감지된다"고 말했다. 새누리당도 대선을 앞두고 중도층의 표심을 끌어모으기 위해 종북 국회의원 문제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