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민 10명 중 1명은 65세 이상 노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서울시의 '2010년 말 기준 주민등록인구통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31일 기준 서울에 사는 만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100만2,770명을 기록했다. 고령 인구가 100만명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는 지난 2009년의 94만2,946명에 비해 5만9,824명(6.3%) 증가한 것으로 외국인을 제외한 서울 전체 인구 1,031만2,545명의 9.7%에 해당하는 수치다. 서울의 고령 인구는 ▦2005년 73만5,902명 ▦2006년 78만6,580명 ▦2007년 85만2,235명 ▦2008년 89만8,700명 등으로 지난해 말까지 5년간 26만6,868명, 연평균 5만3,373명씩 증가했다. 지난해 만 15세 미만 유소년 인구는 143만4,580명으로 전년의 150만794명에 비해 6만6,214명(4.4%) 줄었으며 만 15세~64세 인구는 787만5,195명으로 전년의 778만2,989명보다 9만2,206명(1.2%) 늘었다. 이에 따라 14세 미만 인구 대비 고령 인구의 비율인 노령화지수도 69.9를 기록해 전년의 62.8에 비해 큰 폭으로 높아졌다. 서울의 전체 인구는 1,057만5,447명으로 전년의 1,046만4,051명에 비해 11만1,396명(1.1%) 증가했다. 이 중 외국인은 26만2,902명으로 전년의 25만5,749명보다 7,153명(2.8%) 늘었다. 여성 인구 100명당 남성 인구는 98.09명으로 2000년 100.45명 이후 감소세가 이어졌다. 자치구별 인구는 송파구 69만3,144명, 노원구 61만5,425명, 강서구 58만506명 등의 순으로 많았고 중구는 14만2,200명으로 가장 적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