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 2기 신도시 가운데 구조조정 대상이던 파주 운정3지구가 사업 추진 여부를 재검토한 지 2년여 만에 사업을 재개하게 됐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파주운정3 택지개발지구 개발계획변경 및 실시계획승인 신청서'를 국토해양부에 제출했다고 27일 밝혔다. 지난 2007년 택지개발예정지구로 지정돼 2008년 개발계획승인을 거친 파주 운정3지구는 부동산 경기 침체와 LH 자금난 악화, 사업성 부족 등의 이유로 LH 사업보류지구에 포함돼 후속 행정절차가 중단됐다. 하지만 보상이 지연되면서 사전에 보상 계획을 믿고 대출을 받아 대토를 구입한 토지 소유자들은 대출 이자에 따른 어려움이 가중돼 크게 반발해왔다. LH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민대표ㆍ지역구의원ㆍ국토부ㆍ경기도ㆍ파주시가 참여하는 6자협의체를 구성해 사업성 개선방안을 찾아냈다. 국토부와 경기도는 사업 시행자에게 과도하게 부담된 광역교통개선대책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교통유발 원인자 부담원칙에 따라 시설규모와 부담주체를 조정했다. 파주시도 쓰레기자동집하시설ㆍ물순환시스템 등과 같은 투자비와 유지관리비가 많이 드는 기반시설의 축소ㆍ폐지에 동의했다. LH 관계자는 "내년 2월 지장물 조사를 끝내고 사업계획이 확정된 후 보상일정을 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파주 운정3지구는 앞으로 면적 7㎢에 인구 9만2,000명, 3만7,000가구를 수용하게 된다. 기존 운정(1·2)신도시와 교하신도시까지 연계하면 총 18.7㎢에 인구 25만명을 수용하게 돼 일산(15.7㎢)보다 큰 신도시로 거듭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