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관 인사는 장관 출신을 고려해 보조를 맞추면서 관료 외에도 다양한 인사를 기용할 겁니다.” 새 정부의 조각(組閣)과 청와대 비서관 인선의 실무를 맡고 있는 박영준(47ㆍ사진) 당선인 비서실 총괄팀장은 지난 18일 저녁 서울경제 기자와 만나 앞으로의 차관 인사 방향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청와대 인사비서관에 내정된 박 팀장은 인선 과정의 어려움을 설명하며 “국가인재관리시스템이 부실해 향후 재정비할 생각”이라는 계획도 제시했다. 박 팀장은 우선 새 정부의 첫 국무위원 후보자 인선과 관련해 “청와대 수석비서관 인사와 달리 지역, 학교, 성별, 대선 승리 기여 등을 모두 고려하면서 능력 있는 인사를 쓰려다 보니 5차방정식을 푸는 것보다 어려웠다”고 고충을 털어놓았다. 그러면서 “인재관리시스템이 부실해 초야의 숨은 인재를 찾기가 무척 힘들었다”면서 “앞으로 (인재관리시스템을) 대폭 재정비해 선진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차관 인사는 관료 중심으로 하느냐’는 물음에는 “장관 인사처럼 다양한 경력의 민간 인사들을 기용할 것”이라며 “장관과 차관이 팀워크를 이루도록 경력을 안배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교육인적자원부처럼 민간 인사가 장관이 된 곳은 아무래도 관료가 우선 고려 대상이지만 공직자 출신의 장관이 있는 곳은 그 반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팀장은 또 정부조직개편안이 국회에서 난항을 겪으면서 “신설 금융위원회와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인사는 정부 출범 이후로 미뤄질 가능성이 높다”며 “공정위 위원장 인사는 출범 전에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위와 방통위 위원장은 3~4배수로 압축됐지만 유동적이며 공정위원장은 인수위원인 백용호 이화여대 교수와 김병일 전 공정위 부위원장이 유력한 후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 팀장은 이번 조각에서 빠진 윤진식 전 산업자원부 장관의 거취에 대해 “오는 4월 총선에 고향인 충주에서 출마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회원 460만명의 선진국민연대를 조직해 이명박 대통령 만들기의 1등 공신이 된 그는 총선에서 대구 중ㆍ남구 출마를 계획했다 청와대에 남게 돼 여의도 입성이 좌절된 데 대한 아쉬움을 인터뷰 말미에 내비치기도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