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박사학위 취득자 배출 순위에서 서울대가 지난 2004년 이후 중국 칭화대와 베이징대 등 ‘중국세’에 점차 밀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소득 증대에 따른 유학생 증가, 국내 연구 여건 변화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지만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글로벌 인재’확보 전략 수립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1일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이 실시한 ‘박사학위취득조사’결과를 보면 1997∼2006년 미국 대학 박사학위 취득자들의 학부 출신 대학 조사 결과 서울대 출신이 총 3,42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미국 대학을 제외한 대학 중 가장 많은 숫자이며 미국 및 해외 대학 출신자를 통틀어 따진 전체 집계로도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 버클리)의 4,298명에 이은 2위다. 그러나 최근 수년간 실적을 보면 중국 칭화대가 2004년 서울대를 제치고 해외 대학 중 1위를 차지했고 2005년부터는 UC 버클리마저 제치고 전체 1위로 올라섰다. 2006년에는 1위인 중국 칭화대(571명)에 이어 베이징대도 전체 2위에 오르는 등 중국인 유학생들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중국 대학들과 비교하지 않고 절대 숫자로만 보더라도 서울대 학부 졸업생 중 미국 박사학위를 취득한 인원은 1994년 638명에서 2004∼2006년에는 매년 350∼390명 수준에 그치는 등 감소세가 뚜렷했다.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가 발간하는 과학저널 ‘사이언스’ 최근호는 이에 대해 “칭화대와 베이징대가 한국 라이벌(서울대를 지칭)을 넘어설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오세정 서울대 자연대 학장은 “1980년대 중반에는 대부분이 해외에 나가 공부를 계속하는 분위기였지만 최근 국내 대학원이 커지면서 국내에서 하는 경우도 많아졌다”며 “이공계 기피현상으로 (박사)학위를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데다 중간에 전공을 바꾸거나 고시를 보는 학생들도 많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