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내정자는 15일 "(핵무장론) 그런 말은 쉽게 해서는 안 된다"며 "정치권에서야 이런 말도 저런 말도 하지만 (핵무장을) 해야 한다, (핵무기를) 들여와야 한다, 개발해야 한다는 것은 국익과 관련된 굉장히 민감한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핵무기 제조 전 단계로 핵물질을 확보할 수 있는 우라늄 농축과 사용 후 핵연료 재처리 기술을 확보하는 것과 관련해 "한미원자력협정 개정이 (새 정부 출범 후) 시작되므로 우리의 핵 재처리 기술 등에 대해서는 한미 간에 합의를 봐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원자력협정 개정에 대해 "당면과제로 우선순위가 상당히 높은 과제"라고 덧붙였다.
사용 후 핵연료 재처리 허용을 위한 한미원자력협정 개정 문제는 현 정부에서도 계속 논의되던 사안이지만 아직까지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도 지난 1일 미국 의회 대표단을 접견한 자리에서 "미래지향적인 방향으로 한미원자력협정이 개정되도록 관심을 갖고 협조해줄 것을 부탁드린다"고 말한 바 있다.
김 내정자는 또 북한 전역을 사정권으로 하는 사거리 800㎞ 탄도미사일의 조기 전력화와 관련해서도 "국방부가 그렇게 추진 중이기 때문에 인수위는 국방부의 방침을 존중해줘야 하지 않겠느냐"고 전했다. 이어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가 무엇이든 모든 것은 튼튼한 안보를 기본으로 해서 추진한다는 게 기본"이라고 강조했다.
김 내정자의 이 같은 발언은 앞으로 새 정부의 대북정책 방향이 유화 기조보다는 안보 강화에 방점이 찍힐 것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외교국방통일분과위원회 내에 설치된 북핵 태스크포스(TF)에 대해서는 "추가 핵실험 여부에 대해 청와대를 비롯한 정부 당국과 정보를 공유하며 현실화 가능성을 비교분석 중"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