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규식 한국노동연구원 노사·사회정책연구본부장은 23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고령사회대책 토론회'에서 "OECD의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07~2012년 한국 남성의 평균 실제 은퇴 연령은 71.1세였다"며 "평균 은퇴연령이 70살 이상인 나라는 한국이 유일했다"고 말했다.
한국 남성의 실제 은퇴 연령은 OECD 회원국 평균(64.3세)보다도 6.8세가 높았다. 한국 다음으로 실제 은퇴 연령이 높은 국가는 일본(69.1세)이었으며 이어 스웨덴과 스위스(66.1세), 미국(65.0세), 호주(64.9세) 순으로 나타났다.
실제 은퇴 연령이 OECD 최고 수준인 것은 한국 여성 역시 마찬가지다. 한국 여성의 실제 은퇴 연령은 69.8세로 일본(66.7세)과 미국(65.0세)보다 높았으며 OECD 평균(63.2세)보다 6.6세 높았다.
배 본부장은 "한국 남성들은 늦은 나이가 돼서도 열심히 일하는 것으로 유명한 스페인이나 스위스보다도 5년이나 더 일하고 있다"며 "노후 준비 부족으로 은퇴를 한 뒤에도 다시 노동시장으로 내몰리거나 가장으로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을 계속 안고 있다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그는 "27~54세의 노동시간을 주당 40시간으로, 55~60세의 노동시간을 30시간으로 각각 줄이는 한편 65세 이후에는 주 20시간 미만의 시간제 노동을 도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편 석재은 한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노후 소득 보장을 위해 근로 빈곤층, 실직자, 여성에 대한 국민연금 수급권을 확대해 1인 1국민연금체계를 확립해야 한다"며 "은퇴 후 연금을 받기 전 소득이 없는 기간에 대응하기 위해 퇴직연금과 개인연금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