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위원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 3층 노사정 대회의실에서 복귀 기자간담회를 열어 "(4월 이후) 중단된 노사정 대화를 더 늦출 수 없다"며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대화가 재개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지난 4월 초 노사정 대타협 결렬에 대한 책임을 지고 청와대에 사표를 제출한 뒤 두문불출했다.
김 위원장은 "노동개혁이 근로자의 일방적 희생만 요구한다는 주장이 있으나 그러한 일은 있을 수도 없고 있어서도 안 된다"며 "경영계도 일자리 창출을 비용의 관점이 아니라 사회적 책임 측면에서 바라보고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현재 상태의 노동시장으로는 경제도약은커녕 사회의 지속가능성마저 담보할 수 없다"며 "의제는 노동계가 주장하는 쟁점 사안 등을 포함해야 하며 해결방식은 이전처럼 패키지딜이 현실적"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천막농성을 하며 노동시장 구조개혁에 반발하고 있는 한국노총에 대해서도 김 위원장은 "직접 만나 설득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개인적으로 노동시장 개혁이 이미 골든타임을 놓친 것이 아닌가 하는 조바심도 있다"며 "대화가 재개되면 어느 한쪽이 부당함이나 억울함을 당하는 일이 없도록 공정한 중재자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