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남미 자원부국과의 자원ㆍ에너지 분야 협력에 발 빠르게 움직이면서 자원 확보와 새로운 시장 창출에 청신호가 켜졌다. 특히, 남미 자원부국들이 광산개발에 따른 환경피해인 광해(鑛害) 복구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광산 폐수처리, 토양정화, 훼손된 산림복구 등 광해방지사업을 연결고리로 양국 간 공고한 협력관계가 구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식경제부와 칠레 광업부가 지난달 21일(현지시간) 개최한 '제4차 자원협력위원회'에서 한국광해관리공단은 칠레 내 폐광산과 가행광산에 대한 광해복구사업 등 협력방안을 소개했다. 또한 칠레 광해현장 공동조사를 통한 '칠레 광해방지 마스터플랜 수립'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칠레 정부는 우리 측의 광해방지 분야 협력방안을 높이 평가하고 앞으로 더욱 구체적인 실행 방안에 대해 논의하자고 요청했다.
콜롬비아 정부도 한국과의 광해관리 업무 협력에 적극적인 관심을 적극 표명했다. 콜롬비아는 석탄ㆍ니켈ㆍ금이 풍부해 중남미 3대 자원부국으로 잘 알려졌지만 자원부국이라는 화려한 수사 이면에는 지난 1500년대 식민지의 암울한 식민지시기에 해외 열강으로부터 자원을 수탈당했던 아픔을 갖고 있다. 그 결과 광산 지역의 환경이 심각하게 오염됐으며 현재 환경오염 복구를 위해 광해관리 선진국과의 협력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런 연유로 콜롬비아는 우리공단 측과 광해관리 법ㆍ제도의 공유, 기술협력, 공동연구 프로젝트 진행 등을 희망하고 있다. 이에 공단은 콜롬비아 정부 관계자의 국내초청연수, 광해공동조사 등을 단계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한국 광해방지 기술 해외서 인정
환경 문제가 전지구적 관심사로 부상하면서 이처럼 '광해'를 바라보는 자원부국들의 시각이 달라지고 있다. 칠레, 콜롬비아 등 남미 지역뿐만 아니라 몽골, 베트남 등 국가들도 광해의 위험을 인지하고 광해방지를 위해 움직이기 시작했다.
세계 10대 자원부국으로 꼽히는 몽골에서는 한국 조사단이 파견돼 광해실태조사 및 정보화 구축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바가누르 국영 석탄광산의 식생을 복구하는 사업도 진행 중이다. 베트남 역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하롱베이가 광해로 인해 심각한 오염 위기에 놓이자 광해방지를 위한 대책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광해관리공단은 현지 광해실태조사와 이에 필요한 처리시설을 설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자원개발에만 치중했던 국가들이 국제적인 환경 이슈와 지속 가능한 개발에 눈을 눈뜨면서 그 대안으로 광해방지를 주목하고 있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무엇보다 한국의 광해방지 기술력을 인정하고 손을 내미는 자원부국들이 하나둘씩 늘고 있다는 것은 눈여겨볼 만한 대목이다. 앞서 언급한 몽골ㆍ베트남 이외에도 키르기스스탄ㆍ말레이시아ㆍ 태국 등의 국가에서 한국의 광해방지 기술의 도입에 적극적이다. 이는 국내 광해방지사업을 수행하면서 축척한 노하우와 광물찌꺼기 무해화 기술, 광산폐수 정화 기술, 토양오염 정화기술 등 분야에서 선진국 수준의 기술력을 갈고 닦아온 노력이 서서히 빛을 발하기 시작한 것이라 하겠다. 여기에 덧붙여 말하면 국내의 인식 수준이 여전히 낮은 단계에 있는 것과 비교할 때, 오히려 해외에서 광해의 인식 확산이 보다 빨리 이뤄지고 있다는 느낌이다.
국내에서는 아직 인식 수준이 낮지만 해외에서 되레 광해의 인식이 빨리 확산되고 있다.
국민적 관심·인식 확산 이뤄졌으면
광해관리사업은 해외 자원부국들로부터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으며 우리에게 새로운 기회를 부여하고 있다. 또한 국가 녹색성장과 지속 가능 발전에도 분명 일조하고 있다. 직접적인 시장창출 효과뿐만 아니라 해외 자원을 확보하는 데 간접적인 도움을 주기도 한다. 오염된 환경을 복구하는 일이다 보니 상대 국가의 거부감을 덜 수 있고 친밀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가 이미지를 좋게 하고 국익에도 도움이 되는 사업인 만큼 광해관리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인식 확산이 이뤄졌으면 한다. 국민이 애정과 관심을 기울여주는 광해관리사업은 해외 자원 협력의 가교 역할을 톡톡히 해낼 것으로 확신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