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 입주 21~30년 아파트(-5.42%), 입주 10년 이하 아파트(-2.18%), 입주 11~20년 아파트(-1.79%) 순으로 하락했다. 동기간 전체 서울 아파트의 평균 하락률은 -3.42%였다. 그간 재건축 기대감으로 아파트가 낡을수록 값이 올랐던 관행이 사라진 셈이다.
입주 30년 이상 된 대표적인 아파트는 강남구 대치동 은마, 강동구 둔촌동 둔촌주공(1~4단지), 서초구 반포동 한신(1ㆍ3차), 송파구 신천동 장미아파트 등이다. 은마아파트 공급면적 112㎡는 연초 10억원을 호가했지만 현재 9억4,000만원 선으로 떨어졌고, 둔촌주공1단지 26㎡는 3억9,000만원에서 1억원 빠진 2억9,000만원 선이다.
부동산경기가 호황을 누렸던 2009년에는 입주 11~20년 된 아파트값이 1.96% 오르는 동안 30년 이상 된 아파트는 무려 13.24% 올랐다. 2010~2011년 아파트 매매가가 떨어질 때도 30년 이상 된 아파트는 하락폭이 가장 작았다.
그러나 주택경기 침체가 장기화하고 서울시가 소형평형 의무비율을 확대하는 등 재건축 인허가 기준도 강화돼 상당수 재건축 사업장이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온라인뉴스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